로열티 무료와 HEVC를 위협하는 압축률로 대역폭 절감을 안겨줄 AV1 코덱이 슬슬 여러 곳에서 보이는 듯 하다. 그래서 이것저것 찾아보는 도중 발견한 정보를 정리...한다기 보단 사실 그냥 위키피디아를 참조하니까 다 나오더라. 일단 무료, H.264대비 넓은 색영역, 효율성 향상, 10/12비트 컬러 개멋 지원, JPEG를 대채할 컨테이너로도 개발 중이라고 함. 아직 최적화가 안되었기에 각종 가속이 안되어 생 CPU빨로 돌려야 하는 코덱이라 시스템의 성능이 적당히 받쳐줘야 한다. 다만 몇 몇 굴려보니 FHD정도까지는 4코어 프로세서면 큰 문제 없이 구동이 가능할 듯. 4K는 이야기가 달라지긴 하지만.
컨테이너로는 WebM, MKV가 쓰이는 것 같고 아직 초기니까 이후에는 좀 더 널리 쓰이지 않을까 싶은데 잘 모르겠다. DXVA 가속이 전혀 안되니까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등은 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싶은데, 혹시모르니 일단 최신으로 업데이트를 해 둠.
*테스트용 AV1 영상 다운로드: https://www.elecard.com/videos
윈도에서 가장 손쉽게 이를 볼 수 있는 방법은 FFmpeg(4.0), 구글 크롬(버전 70베타 부터), 구글 드라이브(업로드 후 감상 가능), 모질라 나이틀리빌드, VLC(3.0 이상), MPC-HC(1.8.1 이상)에서 지원하고, 이 코덱을 지원하는 인코더들도 늘어나고 있는 듯 하니 위 위키를 참조해 보도록 하자. MPC-BE는 나이틀리 빌드에서 그럭저럭 잘 재생이 되고, VLC는 변경 내역에는 지원이라고 나와 있지만 아직 실험적인 코덱이라 그런지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도 다수 존재했다. 지금으로는 MPC-HC/BE를 사용하는 게 속편하게 감상할 수 있지 않나 싶다.
차후에 널리 사용되고 스마트폰 등에서도 올바르게 가속되는 시대가 오려면 2,3년은 지나야 하지 않나 싶은데, 사실 아직도 HEVC로 인코딩된 영상은 보기 힘들기도 하고. 그때되면 그냥 플레이어에서 쉽게 재생할 수 있지 않나 싶지만, AV1 코덱을 미리 접해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영문 위키피디아를 참조하도록 하자.
'Web.World > Triv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시계 배터리 교체/줄 갈기 툴 (0) | 2018.10.07 |
---|---|
홈플러스 입점 매장 찾기 (0) | 2018.09.01 |
H5AI - 간단 웹서버 파일 공유 (0) | 201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