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sun 보드 지원 페이지
·
PC.Div.Soft/Driver.Firmware
구글링하면 쉽게 나오긴 하지만, 요즘 알리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AMD 시스템을 맞출 수 있어서 종종 보게 됨. 아직까지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건 아니지만. E**쓸거니 여기 쓸거니 할거면 여기도 괜찮지 않나 싶기도. BIOS 업데이트 등은 자주 하지 않는 듯 하다.
NVIDIA, 코드 실행 등을 허용하는 취약점 패치된 드라이버 출시
·
PC.Div.Soft/Driver.Firmware
NVIDIA가 Windows/Linux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GPU 드라이버, 가상 GPU 드라이버의 8가지 취약점을 완화하는 긴급 보안 패치를 출시했습니다. RTX, Quadro, NVS, Tesla 제품군이 영향을 받습니다.
Realtek RTL9210(B) NVMe/USB 3.1 컨트롤러 펌웨어 1.33.98.090324
·
PC.Div.Soft/Driver.Firmware
리얼텍의NVME/USB 인클로저에 주로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펌웨어 신규 버전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9210B버전이며 1.33.98.090324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인클로저 3개 모두 업데이트되고, 별다른 문제는 안보이네요.
GMKTec 미니PC BIOS 다운로드 페이지
·
PC.Div.Soft/Driver.Firmware
글로벌 버전 웹페이지에서는 다운로드 링크 없어졌는데 홍콩 홈페이지에는 아직 살아 있다. BIOS페이지(구글 드라이브)는 여기를 참조합시다. 가성비 괜찮아보이는 M5Plus(5825U)의 경우 9월 이후 별다른 업데이트는 없는 것 같다. 또 대게 윈도에서만 업데이트 가능한 파일 제공하니까 귀찮긴해도 윈도 설치가 필요하니 참조합시다.
반디네이머 - macOS <> Windows 유니코드 파일명 표시 변경
·
PC.Div.Soft/Driver.Firmware
보통은 잘 안쓰게 되고, 영문으로 해서 쓰곤 하는데 한글로 된 파일명을 쉽게 수정해주는 툴을 이제야 발견해서 포스팅. 윈도에서는 분리된 파일명을 합쳐주는 기능을 제공하니 참조합시다.
Realtek PCIe FE / GBE / 2.5G / 5G 드라이버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리얼텍의 랜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윈도 10/11 모두 업데이트되었으며, 지난 12/8일 등록된 버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24일에 등록된 드라이버 입니다. 사용하시는 분들은 업데이트를 챙겨보세요.
독거미(AULA) 키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
PC.Div.Soft/Driver.Firmware
중국 내수용은 중국 홈피에서 받아야 되더라. 당연하겠지만.. 글로벌 페이지는 여기. 유/무선 모두 동작하고 설치하고 초기화하면 노브나 일부 버튼이 안먹는 경우 있는데 버튼을 누르다보면(....) 돌아오곤 하더라. 처음에는 입력기 문제인가...하고 걱정했는데 펑션키 조합 등을 여럿 눌러보니까 원래대로 돌아오더라. 아무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드라이버 설치해서 사용하도록 합시다.
GIGABYTE IT5701/ 5702 RGB 컨트롤러 펌웨어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일부 GIGABYTE 머더보드의 RGB 컨트롤러의 펌웨어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Intel 700 시리즈, AMD AM5 시리즈, H610M D3H DDR4, H610M GAMING WF DDR4 등의 일부 머더보드에 적용되며, 관련 머더보드를 사용하는 분들은 업데이트를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별도의 재시작이 되지는 않지만 펌웨어 적용을 위해선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하네요. 이번 업데이트로 Microsoft 동적 조명을 지원한다고 하니 참조하세요.
PNY Geforce RTX 그래픽 카드 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RTX 3070도 요 근래 가성비가 나쁘지 않은 것 같다. 4060보다 조금 더 좋은 성능에 조금 더 높은 전력 소모지만 가격만 저렴하게 잘 구한다면 그럭저럭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함. 다만 이제 50시리즈가 나오기에 미묘한 감이 없진 않지만서도. 아무튼 초기 RTX 30시리즈라면 리사이저블 바와 관련한 BIOS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메이저 업데이트사는 대게 제공중), PNY 제품도 제공하고 있더라. 관련 업데이트 파일은 PNY 웹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 윈도 실행파일이고, 업데이트 시 화면이 깜빡이고, 자동으로 재시작되니까 참조합시다. 업데이트 후 PC UEFI 내에서 Resizable BAR설정을 활성화하면 되고, 이후 관련 기능이 활성화되는 걸 GPU-Z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사파이어 니트로(Nitro) Radeon RX 6700XT BIOS 스위치
·
PC.Div.Soft/Driver.Firmware
요즘 6700XT가 중고로 저렴하게 풀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다. 작년에도 중고 가격이 나쁘지 않았는데, 이거 나온지가 3년이 넘긴했지만... 요 근래 중고 가격 보면 가성비 괜찮은 제품이라 생각은 든다. 아무튼 관련 제품 공식 웹사이트는 여기. 기본적인 사양이나 기능은 매뉴얼을 읽어보면 나와욌지 않나 싶은데, 각종 벤치 툴을 돌려보거나 하면서 이상하게 타 제품 대비 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BIOS 스위치 위치를 살펴봅시다. 경험상 사일런트 모드여도 성능이 절반이 되거나 그렇지는 않은데, 약간의 전력 제한과 최대 부스트 클럭이 조금 낮아지는 정도다. 다만 그만큼의 발열은 줄고, 팬 소리도 줄어드니까 참조합시다.
WD, SN580, SN770 펌웨어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윈도11 24H2 업데이트후 발생하는 블루스크린 오류를 해결하는(HMB-호스트 메모리 버퍼를 사용하는 모델) 펌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 WD Dashboard 앱을 사용하여 업데이트 가능하니 참조하세요. 앱을 사용하는 만큼 윈도에서만 가능합니다.
퀄컴 QCNFA765 드라이버
·
PC.Div.Soft/Driver.Firmware
알리서(...) $11 전후에 판매되더라. 개인적으로 노트북에서 쓸만한 드라이버 지원 옵션을 가진 건 Intel이라 생각하지만, 이쪽은 DBS을 지원한다고 함.  다만 2024년에 와서 WiFi7이 아닌 6E를 위해 뭔가 투자하기는 좀 미묘하지 않나 싶음. WCN7851이 이베이서 약 9만원 전후에 팔리고 있더라. 지금 사용하는데 문제 없으면 교체 안하는게 맞지 않나 싶고, 미니PC 등의 기본 무선랜이 조금 미덥지 못한 경우라면 비교적 무난한 업글이 되지 않나...하고 생각함. 아무튼, 드라이버는 레노버꺼 사용해도 되고, OEM드라이버나 윈도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받아서 사용해도 무방.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WCN685x라고 검색하면 된다. 레노버서 받은 파일 압축해서 올려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