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 Arc 그래픽 카드의 유휴 전력 소모가 큰 경우
·
PC.Div.Soft/Tip
보통은 파워 미터 같은 거 써보지 않으니까 잘 모르지만, 서버용도로 쓰는 사람이라면 체감하는 경우 종종 있는 듯 하다. 관련해서는 인텔에서도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그래픽 카드에 연결된 모니터 수, 해상도, 주사율에 따라 전력 소모가 늘어날 수 있으며, 보드 UEFI 내의 ASPM을 활성화하고, 전원 옵션에서 최대 절전을 선택하면 낮아진 유휴 전력 소모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함. 다만 경험상 ASPM을 켜는 순간 PCIe 장치와 종종 USB 장치도 먹통되는 경우가 좀 있고, PCIe 장치가 깨어날 때까지 딜레이와,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고는 해서 아직까지도 꺼져있는 기본값을 선호하는 편이라; 필요와 자기가 가진 제품의 호환성에 따라 취사선택하도록 합시다.
윈도 10/11에서 동작하는 윈도 7 환경
·
PC.Div.Soft/Tip
윈도10, 11에서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을 윈도 7 처럼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윈도7의  explorer를 윈도 8/10/11용으로 포팅하였다고 합니다. OpenShell 같은 걸 설치하거나 탐색기의 시원찮은 기본 성능 때문에 Total Commander와 같은 걸 사용하는 경우가 꽤 되는데요, 윈도 10/11의 탐색기에 지쳤던 분들이라면 앞으로를 기대해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아직은 공개 베타 버전이라고 하니 참조하세요.
탐색기, 메모장 등에서 Ctrl+방향키 사용
·
PC.Div.Soft/Tip
엑셀이나 한글에서는 종종 사용하는데, 탐색기나 텍스트 파일 등을 보기 위한 메모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가령 파일명이 날짜_이름_작업자_리비전 등과 같이 좀 길거나 한 경우, 메모장의 단어 단위로 페이지를 탐색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띄워쓰기, 특수 문자도 동일하게 취급되서 !,#,같은게 포함된 주소 표시줄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쉬프트키랑 조합하면 선택도 되니까 종종 이용합시다.
게임에서 오디오가 안나오거나 버벅일적에
·
PC.Div.Soft/Tip
처음엔 USB 케이블이 이상한가 했는데, 아직 일부 게임이나 프로그램에서 32bit/192kHz 이상의 출력을 선택하면 소리가 올바르게 출력되지 않거나 버벅거리는 문제가 있다(요즘 쉽게 구할 수 있는 꼬다리DAC 물리면 대게 이런 설정). 요즘 나오는 앱들 대부분은 상관없는데 일부 게임 등에서 문제가 있기도 하다. USB DAC이라면 사실 기본 USB AUDIO 2.0 드라이버로 동작하면 큰 문제 없지 않나 싶은데, 좀 더 세밀한 설정을 위해 종종 제조사 제공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문제가 생기곤 하더라. 아무튼, 최신 업데이트된 윈도에서는 크게 겪을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이상하게 게임이나 영상 재생 등에서 오디오 재생이 올바르지 않고, 그에 따라 영상이나 게임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다면 출력 형식..
Lossless Scaling 으로 비디오 업스케일링
·
PC.Div.Soft/Tip
MPC-BE(MPV 사용)으로 가능하더라. Lossless Scaling을 사용하면 프레임 생성, 업스케일링 기능을 여러 게임에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데 MPC-BE도 가능.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프로필 하나 생성해서 만들고, 확장 모드는 자동, 종횡비, 확장 유형은 마음에 드는 걸로(LS1, Anime4K, AMD FSR 등 다 무난하더라), 프레임 뻥튀기를 원한면 LSGF 2.0, Mode는 X2나 X3이나 요즘PC에서는 큰 무리가 없지 않나 싶음. 이후 MPC-BE를 실행해 적용하려는 영상을 틀고, 확장 버튼을 눌러준 뒤, 다시 MPC-BE를 클릭해 활성화해주면 5초후 적용된다. 당연하겠지만 원본 소스가 좋아야 업스케일링 후의 결과과 좋은 편이다. 720p > 1440p로의 변환은 되게 맘에 ..
실시간 PC 원격 주치의 팝업이 뜰 때
·
PC.Div.Soft/Tip
난 이걸 언제 설치했나 곰곰히 생각해보니까 LG U+에서 유선 상담 받을 적에(접속 문의) 설치가 되더라. 유료서비스로도 판매되고 있기도 하고. U+ 관련 상담을 받거나 했다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제어판에서 삭제 가능하니 참조합시다.
DDR4-3600Mhz를 넘어가는 메모리 구매시 유의 사항
·
PC.Div.Soft/Tip
유의사항이라고 해야 할까, 우선 자기가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QVL 리스트를 반드시 확인하자. 요즘 DDR4-4000Mhz(XMP) 클럭 메모리 가격이 많이 착해져서, 아직 종종 호환성 문제가 있는 D5로 넘어가기전에 메모리 한번 바꿔볼까하는 생각이 들게 되다가 내 보드 QVL 리스트 보고 그냥 기존 3200Mhz 설정에서 안넘어가기로 함. AMD 시스템 역시 마찬가지기에 4000MHz 메모리 구성은 조금 고민을 해봐야하지 않나 싶다. AMD 역시 IF 효율이 늘어나는 대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3600Mhz 정도가 한계치로 보는게 타당하지 않나 싶고. 무엇보다 풀뱅이 되지 않거나 하는 경우가 생겨서 클럭 챙기다 용량 잃는 문제가 생기다. 개인적인 추천은 3200Mhz XMP 메모리 중에서 램타 좀 잘 쪼여..
Intel Core i3-7100/7100T 차이
·
PC.Div.Soft/Tip
요즘은 차력쇼....를 하는 CPU만 출시하고 있어선지, 아님 E코어 효율이 좋아져서 그런지 이런 변종(S/T)이 잘 안나온다. 2세대 샌디브릿지에서도 비슷한 거 볼 수 있는데, Core i5-2500/2500S의 차이는 TDP, 클럭 차이가 난다. 그렇기에 좀 더 저전력, 저발열이고, 성능도 소폭 낮은편. Core i3-7100/7100T의 경우도 동일하다 뒤에 뭔가 더 붙어서 저전력 버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와서 이 프로세서의 사용처가 미묘하지 않나 싶지만, 적당한 B250 보드 사용해서 웹앱 돌리는 거 사용해도 무방하지 않나 싶다. 7100T의 경우 TDP 35W이지만 20W까지 설정가능해서, 좀 더 저전력 저발열 시스템을 구성할 때 쓸만하다. 성능은 소폭 떨어지지만, 어차피 지금 이 CPU의..
CBR/CBZ 파일 열기
·
PC.Div.Soft/Tip
7-Zip으로 잘 열리니까 그냥 7-zip으로 압축 풀어서 사용합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피디아에서 확인 가능하다. 디지털 만화책 어카이브 파일이라고. cbz는 zip, cb7은 7-zip, cbr은 rar처럼 확장자의 마지막 글자가 사용된 압축파일 형식을 나타낸다고 함. Calibre, 수마트라 PDF 등의 프로그램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하니 필요하다면 참조합시다.
ASUS EZ Flash, ASRock Instant Flash 등 NTFS 지원
·
PC.Div.Soft/Tip
요즘 머더보드 업데이트 할 적에 제공되는 UEFI내 BIOS 파일 넣고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응급복구나 이런 거 아니라면 그냥 HDD나 SSD 루트(최상단)에 BIOS(ROM)파일 넣으면 UEFI내 플래시 툴에서 바로 인식하고, 업데이트 가능하다. 업데이트 프로그램 설명에는 USB FLASH 메모리, FAT16/32만 지원한다고 되어 있는 경우 많은데, 2.5인치 HDD/SSD에서 NTFS 파티션 안에 있는 파일도 잘 인식함. NTFS도 잘 인식해서 포맷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없어도 업데이트 잘 됨. A320 시리즈, Intel 100시리즈 기반의 머더보드 전후라면 다 사용 가능. 오늘 BIOS 업데이트하는데 플래시 메모리 없다고 하길래 그냥 SSD 상단에 넣어두고 FS0/FS1 등 찾으면 잘 된다고 하니..
어도비 최신 제품 사용 시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의 중요성
·
PC.Div.Soft/Tip
알려진 버그 수정, 성능 향상....만이 아니라 비교적 최신 소프트웨어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진행해야만 돌아가는 경우가 생각보다 꽤 된다. 특히 어도비 계열. 정품 어도비 소프트웨어 사용하면서 업데이트를 꾸준히 한다면 조금 번거롭겠지만 머더보드 BIOS 업데이트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도 종종 챙겨줍시다(혹은 버전 다운그레이드). 인텔: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support/graphics-drivers.html AMD: https://www.amd.com/ko/support NVIDIA: https://www.nvidia.com/en-us/geforce/drivers/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 프리미가 무작위로 꺼지고 오류가 난다고..
MPC-BE로 유튜브 영상 보기
·
PC.Div.Soft/Tip
1080p 해상도로 봐지지는 않는데, 유튜브 주소 복사해서 MPC-BE 등에서 파일 - URL 열기에다 넣으면 MPC-BE로 볼 수 있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영상 저장도 가능하다. 볼륨 자동 조절, 좀 더 개선된 재생 속도 제어 등이 필요하다면 웹브라우저가 아닌 MPC-BE 등으로 재생해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