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넥스트 클라우드 파이를 구성해서 이것저것 자료 올리고 밖에서 쓰고 하는 것도 꽤 된 듯. 다만 여전히 데스크톱앱의 동기화는 미묘하다. 그냥 WebDAV로 사용 중. 윈도의 경우 파일 크기나 접속 시간을 7때부터 레지값 풀어줘야 하기에 그냥 맘편히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나 Raidrive같은 걸 사용해도 되는데, 내 경우엔 그냥 윈도 기본 값으로도 충분하더라.
윈도10의 WebDAV 기본 설정은 HTTPS이기에 NexCloudPi에서 HTTPS로 구성을 해둬야함(설정에서 Let's Encrypt 인증서 발급 받아주자). 그리고 파일 크기는 내 경우 1GB까지 올려봤는데 20H2기준으로는 1GB 까지는 별다른 수정 없이도 잘 올라가는 듯(?)
아무튼 WebDAV 사용법은 간단하다. NextCloud 접속 > 상단의 파일 > 왼쪽 하단 설정누르면 WebDAV 주소와 도움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거 복사해서 윈도 탐색기(브라우저 말고) 열고 주소창에 붙여 넣고 접속하면 아이디 비번 물어본다. 그 후 자신의 아이디 비번 넣고 작업하면 됨.
반응형
'Web.World > Triv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쿠, 밥솥 등 가전 할인 행사 (0) | 2021.10.07 |
---|---|
PC 카카오톡 사진 묶어 보내기 설정하기 (0) | 2021.09.13 |
도분초 <> 위경도 변환 사이트 (0)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