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XL 체크포인트 중에서 비교적 성능이 좋다는 포니 기반의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체크포인트 설명에 나와있지만 전용 VAE 를 사용해야(SDXL)하고, 개인적으로 찍먹해볼 정도에 하드웨어 성능이 크게 좋지 않다면 Fooocus나 ComfyUI에서 하는 걸 추천.
이거 기본 설정이 잘 되어 있어서 이런저런 설정하는 시간을 줄여줌. VAE는 필요한 거 맞춰서 설정해주도록 하자(A1111기준 Settings > VAE > sdxl_vae 받은거.safetensors 로 설정 후 Apply Settings 눌러 적용). 샘플링은 받은 파일 설명을 따르면 되고, 대게 Euler a / dpm++ 2m 등을 사용하면 됨.
CIVITAI에서 애니메이션 이미지 생성으로 처음 쓰기 괜찮은 포니 기반의 체크포인트(말모양 표시)는 WAI CUTE, T-PONYNAI3, MomoiroPony, Copycat, WAI-ANIMIX-PONYXL, Perfect Pony XL 등이다. 반실사...같은 느낌은 PinkiePie 정도.
포니 기반의 체크포인트에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라면 score_9, score_8_up, score_7_up을 기본 프롬프트에 우선 넣고 보통 들어가는 masterpiece, best quality, 같은 거 넣어주면 된다. 네거티브에는 score_6_up, score_5_up, score_4_up를 넣어주자. 기본적으로 포니 계열에서만 위와 같은 거 지켜주면 되니 참조하고
알려진 캐릭터 이름으로 프롬프트를 사용하고싶다면 Animagine XL을 사용해보거나(포니v6도 가능), SDXL 기반의 모델들이 좋은 게 많아서 개인적으론 SDXL을 사용하게 됨.
구 자료들로 학습해가는 중엔 잘 몰랐는데 요즘은 ILXL 기반의 체크포인트가 활발하게 나와서 이걸 사용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함. 요즘 장인들은 이거 쓰는 듯하다. 그래서 뭔가 따라해보려면 ILXL쓰는게 좋지 않나 싶고, 특히 애니메이션 그림을 주로 뽑는다면, NOOBAI XL 기반의 ILXL 관련한 체크포인트를 사용하는 게 좋아보인다. 알려진 캐릭터 아무렇게나 쓰기가 미묘하긴 하지만, 가이드도 있더라. 프롬프트 사용은 간단하다. <1girl/1boy/1other/…>, <character>, <series>, <artists>, <special tags>, <general tags> 순으로 하면 됨. 이거 사용 아카라이브에 좋은 자료 많으니까 참조합시다. 아래는 캐릭명으로 뽑아본 붕스 카프카.
'Web.World > Ai.ML.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O3-mini 사용 가능 (0) | 2025.02.01 |
---|---|
Fooocus에서의 와일드 카드 사용 (0) | 2025.02.01 |
네거티브 프롬프트에 hands 추가하여 SD의 5개 이상 손가락 생성 방지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