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환경에서 Penpot 셀프호스트 버전을 구동해보려는 노력이 있었던 것 같다. 한글로도 누가 하셨더라. 개인적인 추천은 그냥 맘편히 6600H 미니PC 등에 Proxmox나 TrueNAS Scale 올려서 쓰는 거고, 무료 계정으로도 충분하지 않나 싶은데...
아무튼 WSL과 도커(docker) 데스크톱 설치가 필요하다(개인용으로 사용하는 거면 그냥 회원 가입만 하면 된다). WSL 활성화하는 방법은 윈도의 구성 요소 추가 제거로도 되고, 도커 데스크톱은 설치하면 윈도 재시작을 필요로 함. Powershell 최신 버전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지만 파웨설에서 작업 권장. WSL 환경에서의 도커 도움말은 여기를 참조했음.
아무튼 WSL과 도커 데스크톱 설치가 필요하다. WSL 활성화하는 방법은 윈도의 구성 요소 추가 제거로도 되고, 도커 데스크톱은 설치하면 윈도 재시작을 필요로 함. Powershell 최신 버전을 권장.
파워셀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 WSL 설치, 우분투 설치
wsl --install (기본적으로 wsl 2버전이 설치됨)
wsl --install Ubuntu (설치 가능한 배포목록 확인은 wsl --list --online)
wsl -d Ubuntu (설치한 우분투 실행, 계정 생성)
■ 도커 데크스톱 열고 Settings > Resources > SWL integration 에서 설치한 OS와 통합켜주기(wsl 재시작)

이후 우분투 실행된 파워셀 창에서 다음을 하나씩 복붙하면 된다(파워셀에서의 붙여넣기는 마우스 우클릭). 공식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설명은 여기 참조.
$ mkdir penpot
$ cd penpot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enpot/penpot/main/docker/images/docker-compose.yaml
$ docker-compose -p penpot -f docker-compose.yaml up -d
이후 앱 실행하면 계정 생성해서 작업 진행할 수 있다. 앱 구성 중에 인터넷 사용 허용해줘야 하고, WSL로 구동되는 환경은 가상 디스크이니 파일 내용 찾아보거나 하려면 관련 지식이 좀 필요하다. 메일 인증은 안되니까(된다고 해도 ISP 에서 막으니까) 그냥 가입 후 로그인 진행하면 된다.
실행의 경우 브라우저에 다음을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된다(도커 데스크톱 앱에서도 확인 가능).
http://localhost:9001
이것저것 써보니까 프레젠테이션 대용으로 쓰기에도 괜찮아서 종종 사용해봐야지하는 생각이 듦. 내용 수정할 게 있다면 docker-compose.yaml 를 메모장 등으로 열어 수정하면 된다(사용자\계정명 아래 penpot 폴더 생성되어있음).
종료는 명령어 써도 되지만 도커 데스크톱 앱에서 중지할 수 있으니까 필요에 따라 사용하도록 합시다. 그리고 명령어 없이 도커 데스크톱 앱에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니 재시작, 중지 등은 도커 데스크톱 앱을 활용합시다.
중지 명령은 다음과 같다(데스크톱 앱에서 중지 가능하다).
docker compose -p penpot -f docker-compose.yaml down

5700X3D 기준 작업을 해보면 CPU 사용은 5%내외, 메모리는 2GB 내외던데, 작업량에 따라 조금 차이나지 않나 싶다. 내보내기 같은 거 할 때엔 100%까지 올라가기도 하더라만은. 아무튼 잘 사용하도록 합시다=)
참 개인 PC의 성능이 향상되지만 여전히 짜낼 수 있는 스펙의 한계는 있어서 vt-d나 amd-v의 옵션은 큰 차이는 없지 않을까 싶지만, 일단 켜두도록 합시다. 켜져있는지 아닌지 확인은 각종 시스템 툴 써도 되지만 작업관리자의 성능 > CPU부분에서 가상화:사용되어있으면 된다. 안되어있으면 UEFI 내에서 활성화해두도록 합시다.
차후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면 도움말 등을 참조해서 업데이트하면 되고, 버전업은 바로바로 하는게 데이터 유실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지 않나 싶다. 참 개인 환경에서의 메일 보내기 같은 건 ISP단에서 스팸이라 막아놓아서 안되니까 그냥 아이디/비번으로 생각합시다.
**업데이트의 경우 다음 명령줄을 이용하면 되고, 버전업에 따른 유의 사항 등이 있으니까 공홈을 잘 확인해보고 진행합시다.
(wsl -d Ubuntu, cd penpot 상태에서 해야함)
docker compose -f docker-compose.yaml pull
'PC.Div.Soft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최신 버전에서 XP 게스트 3D 가속 안될때 (0) | 2025.04.08 |
---|---|
웹브라우저 전체 페이지 캡쳐하기(엣지, 웨일) (0) | 2025.03.15 |
Intel Arc 그래픽 카드의 유휴 전력 소모가 큰 경우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