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는 요즘 잘 안쓰는 것 같고, WSL에서 vi라고 쳐고 vim으로 연결되기에, 아니면 그냥 Emacs나 받아서(sudo apt-get install emacs)써도 되고, Nano 써도 된다. 그래픽 환경이면 Kate같은 거도 괜찮다. WSL이니까 뭐...
처음 접하는 사람이 쓰기엔 Nano가 좀 더 편하지 않나싶은데... 사용법은 일반적인 CLI 인터페이스와 동일(nano 파일명). 오픈소스닷컴에서의 VIM 사용법 관련 내용은 여기 참조. 나도 여기서 참조했다. 요즘은 GPT나 유튜브에 검색하니까 다 나오더라... 아니면 vimtutor라고 입력하면 튜토리얼 나오니까 이거 참조해도 된다. 기본적인 편집을 위한 명령어는 몇 개 없다. 줄 삭제는 dd, 복사는 v 눌러서 화살표로 지정 후 y, 붙여 넣기는 p, 실행 취소는 u. 새 줄은 o.
입력모드 전환은 i키 누르면 전환되고, ESC를 눌러 명령모드로 바꾼 뒤, :w(저장), :q(나가기), :q!(강제로 나가기), 저장하고 나가기 :wq/:wp! 정도만 알아도 무방하지 않나 싶다. 저장하고 나가고 싶으면 :wq, 저장하지 않고 나가고 싶으면 :q!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명령모드는 윈도로 치면 단축키 쓰려고 ALT를 누른 상태라고 생각하면 편하지 않나 싶다. 만약 새 파일을 만들거나 편집을 하고 싶으면 :edit file_name.txt 라고 명령모드에서 사용하면 된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