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Game Ready 드라이버 496.13 WHQL 출시
·
PC.Div.Soft/Driver.Firmware
NVIDIA가 다수의 변경 사항이 포함된 496.13 게임 레디 드라이버를 출시했습니다. 이전 472.12에서 496.13으로 꽤나 많은 숫자가 오른 버전입니다. 자세한 릴리즈노트는 여기를 참조하세요. 이번 버전부터 NVIDIA는 윈도 7/8/8.1에 대한이 제거되며, Kepler 아키텍처 제품군의 지원도 제거했습니다(GTX 780Ti, 770....~660, 650Ti 등). 다만 아직 유튜브 재생 시 스크롤 하면 끊기는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았네요.
HP 파빌리온 - 15-cs3011tx BIOS F.15.Rev.A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파빌리온 cs3011tx 모델의 F15버전 BIOS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HP 어시스턴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알람이 뜨지 않나 싶고, 저처럼 매번 체크해서 수동 업데이트하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챙겨보세요. 이번 업데이트 내역은 시스템 안정성향상이고, BIOS 업데이트에 생각보다 시간이 소요됩니다. 지원 OS에 윈도 11들어있는 버전입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2~3회 정도 재시작되고, 그 동안 부트 로더 업데이트도 진행되니 참조하시길.
Topping DX3Pro+ 드라이버(윈 10용)
·
PC.Div.Soft/Driver.Firmware
토핑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요녀석은 가격이 조금 있는데, 이제와서 크랩 제품을 쓰느니 이걸 쓰는 게 좋지 않나 싶다. ifi도 그렇고 드라이버 체크 가끔씩 해보도록 합시다. SMSL의 홈페이지도 개편되서 다운로드 속도 상당히 빨라져서 요즘은 다른 곳에서 받아쓰거나 그러지 않아도 되는 듯.
FX-Audio XMOS 드라이버
·
PC.Div.Soft/Driver.Firmware
가성비 괜찮은 제품이라 몇 몇 지인에게 추천해줬는데, 꽤나 만족스럽게 사용하는 듯. 숫자에 민감하지 않다면 이정도 가성비되는 제품은 없지 않나 싶다. 12V 1A 어댑터만(판매처에서 대게 EU 규격 주긴하지만)잘 구하면 되게 좋은 제품.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잘 안되서(느려서) 티스토리에 올려둠.
GIGABYTE A320 칩셋 기반 머더보드 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GIGBAYTE의 A320 계열 머더보드, A320M-S2H, A320M-H등의 신규 베타 BIOS(기가바이트는 보통 숫자뒤에 영문 붙으면 베타)가 등록되었습니다. 아침에 확인했을 때 신규BIOS가 있었는데 오후에 업데이트하려고 검색하니 안나오던데, 한국어 페이지에는 보이는데 영문 페이지에서는 아직 안 보였던 것 같습니다. DB 동기화 되고나면 차후 다 등록되지 않나 싶습니다. 일단 2200G/A320M-H쓰는 회사 보드에 올려봤는데 업데이트 잘 되고(업데이트 및 재시작에 체감상 4,5분 가량 필요), 이상 없습니다. 다만 dGPU를 뺀 동일 사양이지만 dGPU를 쓰는 시스템이 온보드 쓰는 애보다 포스팅 속도가 조금 늘어난 기분도 들고요. 이건 재시작을 몇 번 더 해봐야 알겠지만, 일단 평소 화면을 보면..
NVIDIA, Geforce 472.12 Game Radey 드라이버 출시
·
PC.Div.Soft/Driver.Firmware
NVIDIA에서 Geforce 472.12 Game Ready 드라이버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에서 윈도11을 지원한다고 하네요. 노트북용은 여기입니다. 이외에도 NVIDIA DLSS 지원, Alan Wake Remastered, Far Cry 6, Diablo II: Resurrected, Hot Wheels Unleashed, Industria, New World 및 World War Z: Aftermath 등의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윈도10에서 유튭 재생에서 화면 스크롤할 적에 재생이 끊기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네요. 지포스 익스피리언스에서 다운로드 받는 속도도 느리고 연휴기간에는 심지어 익스피리언스 로그인도 안되는 현상이 있어 이제야 설치해봤는데, 제 환경-노트북(5800H+3..
AMD Radeon 소프트웨어 Adrenalin 드라이버(21.9.2) 출시
·
PC.Div.Soft/Driver.Firmware
AMD GPU용 Radeon Software Adrenalin 드라이버(21.9.2)를 출시했습니다. 이번 드라이버에서 World War Z:Aftermath 등의 게임 최적화와 디아블로 2 레저렉션에서 최대 13%의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고 하네요. 그 외에도 RX6000 시리즈와 관련된 다수의 버그가 해결되었다고 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업데이트를 챙겨보세요.
AMD, Chipset Driver(3.09.01.140) 배포
·
PC.Div.Soft/Driver.Firmware
AMD의 윈도 11 지원용 첫 칩셋 드라이버(버전 3.09.01.140)이 배포되었습니다. A320 칩셋에서 WRX80칩셋에 이르기까지 Ryzen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칩셋을 지원하며 윈도11의 CPU 지원에 따라 1세대 Ryzen 프로세서, Ryzen Mobile 2000U시리즈, 이전 A시리즈 등은 지원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 외 드라이버별 변경 사항은 AMD SFH 드라이버의 커스텀 HPD 지원 정도만 차이나니 필요하신 분들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그리고 윈10 20H2 이후 Ryzen 5000시리즈 사용자들에겐 전원 프로필이 필요하지 않으니 참조하세요. - 윈도 기본 전원 프로필 사용).
ASUS, 일부 크헤 머더보드에 AGESA 1.2.0.4 기반 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REDDIT에 MSI에 이어 ASUS의 AGESA 1.2.0.4기반의 베타 BIOS관련 정보가 올라왔습니다. Overclock.net의 글이고(여기 인증이 좀 귀찬음), 여러 정보를 보아 아직 완벽하게 PCIe 장치나 USB 장치의 호환성 문제가 사라진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은 MSI나 ASUS나 알기 힘들고, 시스템 성능 향상과 AGESA 1.2.0.4 기반이라는 것만 표시되어 있네요.
카비레이크 윈도 7용 통합 그래픽 드라이버
·
PC.Div.Soft/Driver.Firmware
Intel의 7세대 Kaby Lake프로세서의 경우 윈도7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쓰려면 윈도10 쓰는게 가장 속편한데, 그게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그냥 이제와서 이런 시스템에 뭔가 투자하기 보다는 그냥 GTX 530같은 거 하나 꼽아쓰면 맘편한데(.....);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널리 알려진 방법(4678버전 파일 받아서 거기에 igdlh64.inf 파일 수정)을 사용해도 되는데, 개인적으론 이 드라이버 이제 구하기도 힘들고, 블로그 등에 등록된 거 받느니 좀 더 맘편하게 그냥 머더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 등록된(ASUS/GIGABYTE/MSI/ASRock-베타존에 있음/ECS 등) 드라이버를 사용하는걸 권장. 베타 버전이고 이후 개선이 없지만 윈도7에서 카비레이크 통합 래픽을 사용할..
ASUS PRIME B550M-A BIOS 업데이트(2423)
·
PC.Div.Soft/Driver.Firmware
ASUS PRIME B550M-A 머더보드의 2423 버전 BIOS가 등록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은 AGESA V2 PI 1.2.0.3 C 적용 및 시스템 성능 향상이라고 하네요. 같은 1.2.0.3C 기반이라도 일부 보드는 안전성 향상, 일부 보드는 성능 향상인 걸 보면 칩셋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1.2.0.3C는 세잔 최적화....및 USB 버그 추가 수정 등으로 알려진 만큼 관련 문제 겪고 있으신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고려해 보시고, 일단 AGESA 버전 뒤에 영문 붙는 건 베타인 만큼 지금 별 문제 없다면 차후 정식 버전 AGESA CODE 기반 업데이트를 고려해보셔도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AMD Chipset 드라이버(3.08.17.735)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AMD 칩셋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제공하는 릴리즈노트에 따르면 여타 드라이버의 변경점은 없지만 PSP관련 보안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버전부터 설치 관리자의 색상이 검정으로 변했으니 참조하세요. 근데 아직 번역은 좀 더 신경 써야하지 않나 싶습니다...;ㅅ; 그리고 이번 버전 설치하면 최신 윈도 10 버전 기준으로 전원 관리 옵션이 사라지는 것 같으니(5600X/3600X 기준)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