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NVIDIA FAST SYNC

Klein Berry

NVIDIA FAST SYNC

  • 2017.07.30 13:52
  • PC.Div.Soft
반응형



NVIDIA 제어판, 전역 설정 > 수직 동기 > 빠르게(fast) 설정, 전체화면 전용.
*참조: http://www.overclock.net/t/1601321/fast-sync-howto



위 영상에서도 나오듯이, 기본적으로 높은 FPS 의 게임에서만 사용 가능. 아무튼 사용하는 GPU가 60프레임 이상을 꾸준히 그려내야만 효과가 있다는 점은 VSync와 비슷하지만 인풋렉이 적다는 게 장점.


게임 엔진은 모니터가 몇 프렘을 그리는지 상관없이, 백 버퍼에 프레임을 그려내고(그 덕에 VSync대비 인풋렉이 적어짐), 모니터 싱크에 맞춰서 마지막 렌더 버퍼의 화면을 화면에 보여주는 그런 기술로 보임.


근데 우리나라 많은 온라인 게임들이 자체적으로 60프레임 제한이;

하지만 수직동기화를 끄는 만큼 레이턴시(인풋펙)이 적어지거나 하진 않음. 다만 수직동기화를 켜는 것보다는 많이 적어지는 듯. 리듬 게임 등에서는 하지 않는게(...;) 좋고, 수직 동기화도 그렇지만 자신의 그래픽 카드의 성능, CPU의 성능이 이 게임을 충분히 높은 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를 시키도록 하자. 그리고 1080Ti 같은 거 쓰면서 FHD로 게임하면 엄청난 프레임이 버려질 수 있으니; 게임 내 프레임을 적당히 조절하는 방법도 필요. 다만 이 경우 프레임이 종종 날뛰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음


뭐니뭐니해도 모니터 - 글카가 같이 화합하는 G-Sync나 Free Sync가 무난하고, 그럴 여건이 아니라면 FastSync도 나쁘진 않은 선택이다.

근데 난 게임할 때 로딩 중에 도중도중 웹서핑도 하는 편이라; 전체화면으로는 안하기에;; 아무튼 전체화면으로 게임하는 스팀 게임 유저라면 사용해보자.

드라이버 업데이트후엔 파스칼(10시리즈)만이 아니라 맥스웰(9시리즈) 아키텍쳐를 사용하는 글카에서도 사용 가능.


위 비디오에서도 설명하지만, 144Hz를 목표로 사용하는 유저라면 그냥 관련된 모든 싱크(G싱크든 VSync든 FastSync든 뭐든) 다 끄고, 144프레임 이상을 뿌려줄 수 있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게 현명함. 그래픽 카드가 충분한 프레임을 그려낼 능력이 안되면 미세한 스터터링(도중도중 끊기는 듯한 느낌)도 느껴지고, 144프레임을 뿌려낼 글카라도 높은 프레임 레이트/화면 주사율에서 Fast Sync는 미세한 스터터링이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다. 지금은 드라이버 등의 업데이트로 조금 더 개선이 되었을 수도 있지만. 아무튼 60Hz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고성능 글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사용해볼만한 기능이라고 생각된다.

반응형

'PC.Div.So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Capsaicin at Siggraph 2017  (0) 2017.08.01
HardOCP 선정 최고의 머더보드 5  (0) 2017.07.19
HardOCP 선정 최악의 머더보드 5  (0) 2017.07.19

댓글

Klein Berry어제 보다 나은 나가 되고픈 유저의 블로그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Microsoft SilverLight

    Microsoft SilverLight

    2017.08.06
    ■ 홈페이지&다운로드- https://www.microsoft.com/silverlight/default 개발 끝났는 줄 알았는데….아직 일부 웹페이지 등이 사용중이더라;ㅅ;IE11, 크롬, 파폭 지원
  • AMD Capsaicin at Siggraph 2017

    AMD Capsaicin at Siggraph 2017

    2017.08.01
    SIGGRAPH 2017에서의 AMD Capsaicin 공식 연설.
  • HardOCP 선정 최고의 머더보드 5

    HardOCP 선정 최고의 머더보드 5

    2017.07.19
    ■ [H]ardOCP 선정 최고의 머더보드 5- https://www.hardocp.com/article/2017/07/18/top_5_best_motherboards_all_time '최고'라는 건 그 자체로 주관적이지만, 난 최고의 머더보드가 특별한 방법으로 두드러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머더보드 제조사가 오래 지속되고 안정적인 머더보드를 만드는 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이미 유용한 작동 수명이 지난 머더보드들이 많이 있지만, 일부 머더보드는 높은 품질과 오랜 시간을 버티며 그걸 뛰어 넘었습니다. 440BX 칩셋이 그 좋은 예이죠. 최고의 머더보드 목록 작성에 고려되는 또다른 부분은 혁신입니다. 어떤 머더보드는 설계에 특별함이 있어 더 기억에 남고, 더 흥미로우며 더 좋았기에 결국 많은 사람들에게서…
  • HardOCP 선정 최악의 머더보드 5

    HardOCP 선정 최악의 머더보드 5

    2017.07.19
    [H]ardOCP의 Daniel Dobrowolski가 작성한 글을 가져와 봤습니다.*출처: https://www.hardocp.com/article/2017/07/17/top_5_worst_motherboards_all_time [H]ardOCP에서는 약 20년동안 머더보드를 리뷰했었는데요, 그동안 많은 제품들이 끔찍한 기능(feature)과 버그로 가득했었습니다. 작성자는 그런 기억을 되살려 최악의 5개 제품을 선정했습니다. #5 DFI LanParty nForce 4 SLI DR Expert - 2005(이미지 출처 - https://www.bit-tech.net/news/tech/dfi_nf4_sli-dr_expert_pictured/1/ ) 소켓 939 시대의 머더보드. 풍부한 기능과 훌륭한 레…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 Klein Berry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카테고리

  • SUM (7263)
    • NStyle (229)
      • Book.Study (25)
      • Cook (15)
      • Health.Living (19)
      • Memo.Onenote (21)
      • Life.Dict (29)
      • View:Think (110)
      • Scribe.Fiction (8)
    • Game.Life (544)
      • Car.Automobile (34)
      • Gourmet (35)
      • Mabinogi:heroes (59)
      • Memorise (49)
      • News (102)
      • Translation (115)
      • Visual Novel (10)
    • PC.Div.Soft (3965)
      • Cloud.Software (56)
      • Driver.Firmware (656)
      • Free Software (478)
      • Linux.Selfhost (75)
      • News (1602)
      • Pi.sff.IoT.Audio (140)
      • Tip (230)
      • Windows.Office (483)
    • Web.World (1377)
      • Ai.ML.SD (277)
      • Internet (188)
      • Issue (77)
      • Lec.Record (26)
      • Node.js.Python (3)
      • Tip.Cad.De.3D.Font (271)
      • Think.mov (47)
      • Trivia (316)
    • Media.Photo (58)
      • Music.Movie (102)
    • ETC.Mobile (171)
      • Android.ChromeOS (70)
      • Came.Drone.3DP (61)
      • Apps (28)
      • Nas.HomeLab (83)
      • News.Security (318)
      • Phone.Console (31)
      • Router.Wireless (226)

댓글

정보

나에+의 Klein Berry

Klein Berry

나에+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아카이브

메뉴

  • HOME
  • TAG
  • GUEST
  • ADMIN
  • WRITE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나에+.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