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NVMe 를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NVMe SSD 사용

Klein Berry

NVMe 를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NVMe SSD 사용

  • 2017.08.28 21:49
  • PC.Div.Soft
반응형

■ 참고

- http://www.win-raid.com/t2802f46-Guide-Video-How-to-install-windows-on-NVME-SSD-EVO-without-clover-on-a-board-without-NVMe-support.html

- http://www.win-raid.com/t2375f46-Guide-NVMe-boot-without-modding-your-UEFI-BIOS-Clover-EFI-bootloader-method.html



일개 허접인 내게 종종 다크템플러처럼 활동하는 커뮤니티에서 쪽지로 문의를 받는다.

어려워서 포기했어요 ㅋ 될까요? 보내주세요...로 귀결되긴 하지만 내 알바 아냐하고 넘어가기에 저 포럼의 Fernando는 엄청 위대하다.

EFI 부팅은 지원하지만 NVMe 지원이 없는 보드에 NVMe 부팅 지원 가능하게 롬을 심는 방법도 있고, 직접 로딩하는 방법도 있는 것 같다.


응급 상황에서는 그럭저럭 쓸 수 있을 듯. 이 글은 저 위 두 글을 그냥 번역 한 것. (난 해보지 않음)


nvmexpressdxe.x64.efi를 활용해 직접 부팅하는 방법.


nvm.zip


EFI셸 선택,


-fs0:

-load nvmexpressdxe.x64.efi


(이후 USB 메모리 제거)


-map -r (fs0:으로 동일하지만, 이번엔 NVMe 드라이버가 로드된 상태)


dir(dir로 디렉터리 확인)


cd efi

cd boot


dir(로 안의 내용 확인)


bootx64.efi 로 디스크 부팅



이 방법은, 이미 윈도 등이 설치된 NVMe 디스크를 구형 시스템에서 잠시 불러오거나 할 적에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적당해 보이지만, 부팅 디스크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기에는 좀 부족해 보이긴 하다. 역시 최신 시스템을 맞추는게 장땡인것 같다'-';


그 외에 Clover-EFI를 사용해 BIOS시스템에서도 활용 가능한 방법. 해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모딩이 필요하지 않는 좋은 방법으로 보인다. 이 포럼에서 적은 단점은 살짝 부팅 시간이 늘어난다는 정도...같은데, 업데이트가 막히거나 뭐 이런것만 아니라면야 상관없지 싶다.


부팅 과정은,

BIOS/UEFI->Clover-EFI->NvmExpressDxe-driver->bootpartition@NVMe-drive->OS

이라고 하니 참조하자.


빈 USB 디스크와 윈7/10 설치 미디어가 필요한데, 윈7이라면 시스템에 필요한 F6 드라이버(USB 드라이버나 이런 것 등)을 미리 통합해 두어야 한다고 한다.

- http://forum.notebookreview.com/threads/guide-installing-windows-7-on-an-nvme-ssd-from-a-usb-3-0-thumbdrive.783921/ (참조)


Clover-EFI 부트로더용 별도 파티션(USB 부팅 디스크), SATA 디스크....로도 상관없다니 개인 취향에 맞추자. (결국 저기 UEFI > Clover EFI 파티션 부팅 > 과정에 필요한 파티션을 별도 USB 디스크나, SATA 디스크로 하든, 아무튼 NVMe 디스크를 인식하게 만들어줄게 필요하다)


그렇기에 USB 부팅이 지원되지 않는(....) PC라면 PCIe SSD를 쓸 수 없다. 아니 뭐, 그냥. 응. 뭐 그렇긴 하네.


BDU(Boot Disk Utility by Cvad)를 다운로드 받아 주자. (다운로드 시 거지같은 전체화면 팝업 주의 - 백신 사용 권장)

- http://cvad-mac.narod.ru/index/bootdiskutility_exe/0-5


윈7을 사용할거라면 NVMe 핫 픽스 역시 필요하다고 한다.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2990941/update-to-add-native-driver-support-in-nvm-express-in-windows-7-and-wi )


NVMe PCIe SSD를 시스템에 설치하고, BDU의 압축은 풀어두자.


설치 방법:


1. USB 플래시 드라이브나 SD(카드리더기인 경우)를 시스템에 연결


2. BDU 실행


2a. 플래시 드라이브나 하드 드라이브(SATA)선택(내부 SATA드라이브라면 옵션 > 설정 > 고정된 디스크 > OK (Options > Configuration > Enable Fixed Disks > OK))


2b. '디스크 포맷(Format Disk)' 선택


2c. 완료되면 파일들이 들어있는 200MB 가량의 파티션을 윈도 탐색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라고 한다. 만약 이게 안된다면 BDU는 실패한다고. (Fernando는 종종 여러 부트 로더/파일 시스템 환경에서(윈도+리눅스 환경 등) 이런 경우가 있었다고 함.


3. Cloverstick을 탐색기로 열고


3a. \EFI\CLOVER\drivers-Off\drivers64\NvmExpressDxe-64.efi... 을 다음 위치에 복사하자.


...Legacy BIOS라면: \EFI\CLOVER\drivers64\ 에


...UEFI라면: \EFI\CLOVER\drivers64UEFI\ 에


*BIOS 사용자 중에서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다면 두 곳 모두 다(UEFI폴더에도)에 복사해 보라고 한다. 드라이버가 올바르게 로드되었는지 어떤지 확인은 Clover-EFI-쉘에서 drivers라고 타이핑 해보면 끝부분에 확인할 수 있다고 함.


3b. 추가 작업:


메모장이나 뭐 이런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으로 \EFI\CLOVER\config.plist 를 편집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아래 부분의 값을 찾아서 1~3 내의 낮은 값으로 변경해 두도록 하자.


<key>Timeout</key>

<integer>5</integer>


예를 들면,


<key>Timeout</key>

<integer>3</integer>


뭐 이런식으로.


4. 시스템을 재시작하고, BIOS/UEFI로 진입


4a.

Legacy BIOS: 부트로더를 변경하면 된다. 주 부팅 장치를 새롭게 만든 (위에서 만든 USB 메모리/SATA 디스크) 부트 장치로 바꾸자.

UEFI: 가능하다면 CSM을 비활성화하거나, 스토리지 Oprom을 모두 UEFI 전용으로 바꾸고, 위에서 만든 USB 메모리/SATA 디스크를 주 부트 장치로 설정하자. 


4b.

저장 후 나가자.


5.

윈도 설치 미디어를 삽입/연결 하자.


6.

Clover-EFI 부트로더로 부팅하고


6a.

EFI-Boot을 통해서 Windows 설치 미디어를 선택하자(윈7/2008이면 위의 F6 드라이버와 NVMe 부팅 지원 Fix등을 미리미리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7.

Windows 설치를 계속 진행하면서, NVMe 드라이브에 있는 모든 파티션을 제거한다. 그 후 그냥 일반적으로 윈도 설치하는 것처럼 설치하면 된다. 설치가 끝나기까지 기다리자.


8.

만약 위 순서대로 올바르게 작업했다면, Clover-EFI 부트로더가 올바르게 윈도 설치를 인식하고, 거기로 부팅해 줌.


9.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윈도를 트윅하자.


위 가이드는 수시로 업데이트된다고 하니 이러한 작업이 필요하다면 위 원본 주소를 수시로 확인하도록 하자.


반응형

'PC.Div.So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uedio H+  (0) 2017.09.14
Microsoft DirectX 8.0a for Win95/8.1b for Win98  (0) 2017.08.24
FLIF  (0) 2017.08.16

댓글

Klein Berry어제 보다 나은 나가 되고픈 유저의 블로그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알리)마우스 테프론 패드

    알리)마우스 테프론 패드

    2017.09.15
  • Bluedio H+

    Bluedio H+

    2017.09.14
  • Microsoft DirectX 8.0a for Win95/8.1b for Win98

    Microsoft DirectX 8.0a for Win95/8.1b for Win98

    2017.08.24
  • FLIF

    FLIF

    2017.08.16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 Klein Berry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카테고리

  • SUM (7241)
    • NStyle (227)
      • Book.Study (25)
      • Cook (15)
      • Health.Living (18)
      • Memo.Onenote (21)
      • Life.Dict (29)
      • View:Think (109)
      • Scribe.Fiction (8)
    • Game.Life (138)
      • Car.Automobile (34)
      • Gourmet (32)
      • Mabinogi:heroes (59)
      • Memorise (48)
      • News (102)
      • Translation (115)
      • Visual Novel (10)
    • PC.Div.Soft (3964)
      • Cloud.Software (56)
      • Driver.Firmware (655)
      • Free Software (478)
      • Linux.Selfhost (75)
      • News (1602)
      • Pi.sff.IoT.Audio (140)
      • Tip (230)
      • Windows.Office (483)
    • Web.World (1366)
      • Ai.ML.SD (269)
      • Internet (187)
      • Issue (77)
      • Lec.Record (26)
      • Node.js.Python (3)
      • Tip.Cad.De.3D.Font (269)
      • Think.mov (47)
      • Trivia (316)
    • Media.Photo (58)
      • Music.Movie (102)
    • ETC.Mobile (169)
      • Android.ChromeOS (70)
      • Came.Drone.3DP (61)
      • Apps (28)
      • Nas.HomeLab (83)
      • News.Security (318)
      • Phone.Console (31)
      • Router.Wireless (226)

댓글

정보

나에+의 Klein Berry

Klein Berry

나에+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아카이브

메뉴

  • HOME
  • TAG
  • GUEST
  • ADMIN
  • WRITE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나에+.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