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ALT CODE (ALT 입력법), 유니코드로 확장하기

Klein Berry

ALT CODE (ALT 입력법), 유니코드로 확장하기

  • 2015.08.30 00:07
  • PC.Div.Soft/Windows.Office
반응형

ALT코드(키보드 왼쪽 ALT 키 + 오른쪽 키패드 숫자 조합)으로 코드에 있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사실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거진 쓸 일이 없고, MS 윈도우/DOS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외에도 영문 키보드 배열을 추가해서 우리에겐 안 익숙한 오른쪽 ALT키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음.

근데 그건 더더욱 쓸 일이 없....

 

- http://www.abyul.com/zbxe/5483

 

위 사이트에 특문을 ALT CODE로 다 정리해주신 분이 계셔서 종종 쓰고 있음.

가령 ▲은 ALT+ 41443, ™은 ALT+153등. 특히 노트패드++에서 주로 사용중.

 

유니코드를 사용하면 일부 딩벳 폰트 등을 사용할 적에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뭐 딩벳 폰트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자기만의 관리 노하우가 있겠지만..

 

팁은 영문 위키피디아에 있던 출처(http://www.fileformat.info/tip/microsoft/enter_unicode.htm)에서 가져옴. 


 

 

1. 시작 - 실행 (Win키 + R)에 regedit를 입력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연다.

 

 

2. 그런 다음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HKCU\Control Panel\Input Method 아래에 EnableHexNumpad라는 값을 REG_SZ 형식으로 새로 만든다(HKCU는 HKEY_CURRENT_USER).

 

 

 

2-1. 위에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으면 편집(E) > 새로 만들기(N) > 문자열 값(S)를 선택해서 값을 하나 만들고, 이름을 EnableHexNumpad로 한다.

 

 

3. 좀 전에 생성한 EnableHexNumpad값을 더블클릭해서 편집 창을 띄우고, 값을 1로 설정. 그리고 재시작 / 로그오프

 

 

4. 문자표를 불러와서(실행 - Charmap) 사용하고자 하는 글꼴 불러서 필요한 문자의 아래 부분의 U+0021같이 코드를 외운다.

 

유니코드 패치를 하면 왼쪽 ALT + (오른쪽 키패드+키 누르고, 왼쪽 키로도 사용가능) ▲은 ALT + 41443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ALT + +25b2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ALT키에 숫자...를 조합하는 순간 단축키로 인식하는 웹 브라우저에선 사용 용도가 좀 떨어지나, 리브레나 MS워드에서는 별 탈 없이 사용 가능.

반응형
이 글은 (새창열림) 본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 조건 변경 허락 규칙 하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를 확인하세요.
본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 조건 변경 허락

'PC.Div.Soft > Windows.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10, 파일 탐색기 바로가기 없애기  (1) 2015.08.30
윈10에서 블루투스 키보드 안 먹을때  (0) 2015.08.29
Windows7/8/10 GodMODE  (0) 2015.08.06

댓글

Klein Berry어제 보다 나은 나가 되고픈 유저의 블로그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드라이버 백업 프로그램

    드라이버 백업 프로그램

    2015.08.30
    중국산 윈도 타블렛 + 인텔 베이트레일의 저렴한 가격으로 10만원대 타블렛이 왕왕 보이는데, 경험상 DELL제품이 드라이버나 이런 면에서 가장 속을 덜 썩이는 것 같다. 으으…. 암튼, 중국 중소기업 제품의 경우 자사 최적화가 심한 편인데다 드라이버도 올바르게 안 내주는 경우가 많아서; 나중에 저렴한 가격때메 샀다가 택배비 + OS 재설치 비용해서 상위 타블렛 가격을 사는 경험을 할지도 모른다. 제공해주는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안 먹는 걸 어떡하라고.아오. 국내 10만원대 타블랫도 상황은 비슷… (특히 터치……G센서….카메라….하…-_-) 클린 설치에 드라이버는 새로 설치하는 걸 좋아하는 나지만 윈도 타블랫 저렴이 쓰면서(지금은 DELL이랑 레노보로 넘어옴) 마음 고생했을 때 알게 된 툴 정리…
  • 윈10, 파일 탐색기 바로가기 없애기

    윈10, 파일 탐색기 바로가기 없애기

    2015.08.30
    윈 10은 파일 탐색기가 기본으로 바로가기(열어본 항목 등을 정리 해둔 곳)으로 되어 있음. 시작 메뉴의 파일 탐색기 부분에 자동으로 이것저것 등록되는 대신 목록으로 나옴. 민감한 항목이 있다면 좀 그러니까 없애는 법. 1. 폴더 옵션 들어가기▼ 2. 폴더 옵션에서 [일반]탭에서 파일 탐색기 열기: 부분에 [내 PC로]설정▼ 나머지 항목은 옵션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사실 자주 가는 폴더는 따로 등록을 한다던가 하는 방법이 있기에 사용하기 나름.
  • 윈10에서 블루투스 키보드 안 먹을때

    윈10에서 블루투스 키보드 안 먹을때

    2015.08.29
    인식은 다 하고 윈8.1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쓰던 키보든데, 윈10 올리고(혹은 클린 설치 후) 페어링은 되는데 키보드가 안 먹는 경우. 우선 블루투스 설정으로 가서, 관련 설정 부분에 장치 및 프린터를 터치. 그럼 페어링 된 블투 키보드가 나오는데 타이핑이 안 되는 키보드를 더블클릭하여 속성을 불러오자. 페어링 된 키보드 속성에서 [서비스]탭으로 간 후, 키보드, 마우스, 기타 HID 장치용 드라이버에 체크해주면 잘 된다.
  • Windows7/8/10 GodMODE

    Windows7/8/10 GodMODE

    2015.08.06
    바탕화면에서 새 폴더 하나 생성 후, GodMode.{ED7BA470-8E54-465E-825C-99712043E01C} 라고 이름을 지어주면 끝. 내가 못찾는 건지 윈10에서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Win Pro)가 안 보이는데 그냥 명령어 gpedit.msc로 찾으면 나옴.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Klein Ber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lein Berry

  • Klein Berry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카테고리

  • SUM (7096)
    • NStyle (200)
      • Book.Study (21)
      • Cook (13)
      • Health.Living (17)
      • Memo.Onenote (20)
      • Life.Dict (20)
      • View:Think (99)
      • Scribe.Fiction (8)
    • Game.Life (525)
      • Car.Automobile (34)
      • Gourmet (31)
      • Mabinogi:heroes (59)
      • Memorise (47)
      • News (102)
      • Translation (115)
      • Visual Novel (10)
    • PC.Div.Soft (3931)
      • Cloud.Software (56)
      • Driver.Firmware (651)
      • Free Software (468)
      • Linux.Selfhost (73)
      • News (1596)
      • Pi.sff.IoT.Audio (139)
      • Tip (228)
      • Windows.Office (482)
    • Web.World (1306)
      • Ai.ML.SD (241)
      • Internet (185)
      • Issue (77)
      • Lec.Record (26)
      • Node.js.Python (3)
      • Tip.Cad.De.3D.Font (266)
      • Think.mov (47)
      • Trivia (298)
    • Media.Photo (159)
      • Music.Movie (102)
    • ETC.Mobile (162)
      • Android.ChromeOS (69)
      • Came.Drone.3DP (59)
      • Apps (28)
      • Nas.HomeLab (82)
      • News.Security (318)
      • Phone.Console (31)
      • Router.Wireless (225)

댓글

정보

나에+의 Klein Berry

Klein Berry

나에+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아카이브

메뉴

  • HOME
  • TAG
  • GUEST
  • ADMIN
  • WRITE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나에+.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