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Div.Soft/Cloud.Software
Google, CloudReady OS 인수
Google, CloudReady OS 인수
2020.12.169to5google에 따르면 CloudReady OS를 사용해 오래된 PC와 Mac을 Chromebook과 같은 장치로 바꿔주는 Naverware를 Google이 인수해 이제 Neverware와 CloudReady가 Chrome OS와 통합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은 기존 제품에 대한 변경 없이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무료 버전인 Home 에디션 역시 그대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사용 소감은 메모리 2GB 정도는 필요하고 64bit만 지금은 지원되고 해서 진짜 구형 제품에서 쓰기엔 조금 무리가 있지않나 싶기도 합니다만.... 필요에 맞추는 거니까요 뭐. 일단 CloudReady OS는 여기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볼 수 있습니다(홈 버전). 어지간한 안드로이드 기반 X8..
NextCloud 20.0.1 업데이트
NextCloud 20.0.1 업데이트
2020.10.30NextCloud가 20.0.1 버전으로 업데이트됨. 관련 변경 내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각종 버그 및 메시지 등에 포인터를 넣어 좀 더 보기 깔끔해짐. 생각보다 많은 버그 수정이 이루어진 듯 하다. 20버전 업데이트가 이루어진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아무튼 이러한 빠른 수정은 넥클의 좋은 점인듯. Own Cloud의 경우 PHP에서 Go로 개발 언어를 바꾼다는 말이 있으니까 자체 호스트를 사용한 클라우드 솔루션 중 넥스트 클라우드랑 온 클라우드 사용중인 사람이라면 개발 방향이 업데이트 및 버그 등을 좀 더 자주 체크해봐야하지 않나 싶음.
셀프 호스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스토리지 - yuno host
셀프 호스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스토리지 - yuno host
2020.10.12제목은 한글로 적혀있지만 영어....다.....근데 저걸 한글로 옮기기가 되게 미묘. 클라우드는 우리 생활에 깊게 다가와 있지 않나 싶다. 스마트폰 다들 사용하니까. 외국 제품으론 구글, MS, DropBox, box, mega, pcloud 등이 있고 아이폰 사용자라면 아이클라우드도 있을 거고, 중국에서 제공하는 바이두 클라우드, 국내에서도 많은 곳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업체는 구글에서 free cloud storage...로만 검색해도 많은 회사들이 쏟아져 나온다. 어도비도 제공하고 있기도 하고.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검색해보면 더 많이 나온다. 일정 금액을 주고 사용할 수 있기도 하지만 AWS나 Oracle, GCP, IBM 등의 클라..
라즈베리 파이에서 ESX-i 사용 - ESXi-Arm Fling
라즈베리 파이에서 ESX-i 사용 - ESXi-Arm Fling
2020.10.11VMWare에서 ARM 플랫폼에서 가상화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ESXi-Arm Fling을 공개했습니다.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USB 전원과 USB 3.0 인클로저 및 허브 등을 활용해 vSAN/VMFS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DeskPi Pro와 같은 케이스를을 사용해볼 수도 있고요. 어느쪽이든 대용량 메모리가 장착된 라즈베리 파이 4와 적절한 냉각은 필수이지 않나 싶습니다. ARM에서 구동된다는 게 중요한 점이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가상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게 좋은점이지 않나 싶음. 나는 쓸 일이 거의 없겠지만;ㅅ;
크로뮴 기반 Microsoft Edge 브라우저 다운로드
크로뮴 기반 Microsoft Edge 브라우저 다운로드
2020.02.15다운로드는 여기: https://www.microsoft.com/en-us/edge 안드로이드, iOS 지원 및 Windows 7~10 까지 지원. 윈도10에서 사용 중인데 웨일이나 비발디 쓰는 느낌. MS 런처랑 연동도 괜찮고 약간의 번역이 어색한 걸 제외하면 MS OS, 서비스랑 그럭저럭 잘 녹아든 느낌이다. 그래서 데스크톱/모바일 모두 바꿨음. 크로뮴 통합으로 앞으로 윈도의 많은 부분들이 크로뮴 기반으로 옮겨지지 않을까 싶고, 웹뷰 엔진이랑 OS가 연결된 오늘날의 OS 특징인 만큼, 앞으로의 일이 되겠지만 OS의 많은 부분이 크로뮴 기반으로 돌아가고 MS의 개발자들 덕분에 크로뮴 관련한 기술들이 더 빨리 개발되지 않을까 기대도 해본다.
공공서식 한글
공공서식 한글
2019.11.26- https://www.malangmalang.com/pubhwp 공공기관 서식 입력 전용 한글이라고 하며 개인, 비상업적 사용에만 해당한다고 하니 참조합시다. 요즘 대게 PDF 같은 거로도 양식을 내주기도 하는데 PDF 편집은 좀 까다롭기도 하고, 올바르게 잘 안되는 경우도 있고, 공공기관 대부분이 아직 HWP(ODF, ODT로 주는 곳도 있다고는 하지만)로 내주는 만큼 필요하다면 사용하도록 합시다. 문서 작성 같은건 그냥 온라인 오피스 같은 걸로 가능하게 해주면 좋겠는데, 아직은 갈길이 먼가 보다. 근데 이거 사용하면 위에 "공공서식한글로 작성한 문서입니다."라는 워터마크 박힘; 개인 사용자라면 한글 2020이 7만원 좀 안되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니 이거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크레마뷰어 다운로드
크레마뷰어 다운로드
2019.09.05YES24...에서 이북 산게 많아서 아직 이용하고 있는데, YES24에서 크레마 뷰어 다운로드를 찾아 가려면 http://www.yes24.com/notice/eBookGuide/guide_pc.aspx?CategoryNumber=017 를 참조하면 되고, 여기 찾기 힘들면 그냥 크레마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이걸 사용해도 무방하다. 크레마 뷰어 다운로드 페이지: http://www.k-epub.com/crema/
Seatools
Seatools
2019.03.05-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downloads/ 시게이트 HDD/SSD(전용툴 따로 있음)용 체크 프로그램. 개인적으론 그냥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 등으로 확인하는데, 자사가 배포하는 툴을 사용한 결과만 종종 인정하는 곳도 있고 해서 거의 안 쓰는데 쓰게 됨. HGST HDD만 주로 써서 이 프로그램 안 써도 될 것 같았는데 회사에서 시게이트 HDD를 쓰기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중. 자기가 사용하는 HDD 제조사의 툴이 있다는 것 정도만 체크해 두면 나쁠 거 없을 듯.
윈도우 클래식 쉘, 작업 표시줄 투명하게 해 주는 유틸
윈도우 클래식 쉘, 작업 표시줄 투명하게 해 주는 유틸
2019.03.03[클래식 쉘]- https://sourceforge.net/projects/classicshell/files/ 시작 메뉴/표시줄 입맛대로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유틸 2개. 클래식 쉘은 생각보다 유명한 프로그램인 듯 하다. 요기 회사원들도 꽤 알고 있는 사람 되고, 쓰는 사람 꽤 되는 듯; 정작 난 윈8때부터 메트로 메뉴가 생각보다 맘에 들어 안 쓰고 있었지만; 다만 이후 개발은 없다고 하니 아쉬울 따름. 윈10 1809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함. 유료 버전으론 startisback, https://www.startmenux.com/index.html 같은 게 있는데 속도나 모양 등이 클래식 쉘만한게 없어 보이기도 해서 미묘함. 아무튼 소스포지에 공개되어 있다고 하니 참조합시다. 쭉 읽다보면 https://..
Darktable 2.60 업데이트
Darktable 2.60 업데이트
2018.12.26- https://www.darktable.org/2018/12/darktable-26/ 각종 모듈 추가, 스팟 제거와 같은 기존 모듈 보정 수정 및 개선, 치유 도구 개선 등이 이루어 졌습니다. 포토샵의 내용 채우기 급의 성능 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는 것 같네요.그 외 영화필터(고대비 사진 보정)등 많은 부분이 개선된 만큼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진행해 보시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무료로 GIMP+Darktable 쓰면서 느끼는건데 정말 굉장한 툴...이라고 생각은 함. 다만 월 만원 정도에 사용 가능한 포토샵 + 라이트 룸 역시 상용툴인만큼 굉장히 강력하고 사용자가 많아서 정보 얻기도 쉽기에....나도 여기에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아무튼 정말 좋은 툴이니까..
슬라이서 프로그램
슬라이서 프로그램
2018.12.07많은 사람들이 쓴다고하는 유명한 툴 2개. 비교적 저렴한 PLA 3D 프린터를 쓰기에 괜찮은 툴. 3D 프린터 구매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도 괜찮지만 각종 강좌(?)나 설정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종종 쓴다고 함. 개인적으론 뭘 쓰든 기능만 무나하고 OS지원과 업데이트만 잘된다면 상관없지 않나 싶다. 사용하는 프린터, OS에 맞춰서 구버전이 좀 더 안정적인 경우도 있으니 참조하기를. *Cura - https://ultimaker.com/en/products/ultimaker-cura-software (추천)*KISSliver - http://www.kisslicer.com/download-v16-stable.html*CraftWare - https://craftbot.com/craftware/ (로그인 필요)..
VirtualBox 6.0 베타 1 릴리즈
VirtualBox 6.0 베타 1 릴리즈
2018.10.26- https://forums.virtualbox.org/viewtopic.php?f=1&t=89946 앞 단위가 바뀌는 올만의 새 버전 출시 이야기. OCI(Oracle Cloud Infrastructure ) 통합, GUI 디자인 개선, VRDE 오디오 드라이버 연결/분리 지원 구현, 게스트 제어(새로운 API 구현), 네트워크 관련 문제 수정 및 보안 강화, 성능 향상이 주된 내용이라고 하며, 실사용으로는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 문구가 있습니다. 이미지는 구글링해서 포레스트 워치서 가져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