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Rock 베타 바이오스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ASRock의 베타 BIOS가 여럿 등록되었습니다. 2년여 만에 인텔 300시리즈 칩셋 기반의 머더보드에 Resizable BAR(aka C.A.M)기능을 추가하고, 600시리즈 보드에 RTX 40시리즈와의 호환성 증대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애즈락 역시 잠수함 패치(메모리 호환성 개선, UEFI내 파티션 인식 개선 등)가 종종 있는 만큼 신규 업데이트를 적용해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ASUS ROG STRIX X470-I GAMING 베타 BIOS
·
PC.Div.Soft/Driver.Firmware
Overclock.net에 ASUS의 STRIX X470-I GAMING 머더보드의 AGESA 1.2.0.8 기반의 베타 바이오스와 관련한 글이 올라왔습니다. 버전은 5001이네요.
LG GH22LS50 DVD-Multi TL03 펌웨어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엘지전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내가 이거 쓸 시절의 이전 웹은 사라졌는데, 웹 개편해도 펌웨어 다운로드는 여전히 가능하더라. 등록일은 2010년이고 지원 OS는 윈도7이더라. 윈도 10이나 11에서 업데이트는 불가능하다. 그러니 이런 펌업 프로그램은 가능하다면 당대 지원 OS가 있을 때 업데이트하는 걸 권장. 아님 이거 하나 하기 위해 윈도 7이 구동되는 구형 PC가 한대 필요해진다(....). 사실 윈98 > XP 시절에야 CD-ROM, COMBO등 많이 사용하고 호환성 문제도 있었는데(이때 처음으로 CD-ROM이 OS호환성을 가린다는 걸 경험해봄), 요즘은 별 탈 없지 않나 싶은데, 혹 구형 시스템이라거나 한다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을 가능성이 되게 크니 업데이트를 한번씩 체크해 보도록..
인텔 무선 랜 드라이버 다운로드 페이지
·
PC.Div.Soft/Driver.Firmware
검색하니까 잘 나와서 별 문제 없지 않나 싶고, 사실 드라이버 자동 다운로드 도우미....쓰면 어지간한건 다 되서 별 신경 안썼는데 인터넷이 잡히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무선랜을 가장 먼저 잡아야 하더라(.....). 다운로드는 페이지는 여기. 요즘 구글에 제품명 + 드라이버 라고 검색하면 제조사 홈페이지(일부 메이저 제조사 한정이긴 해도)로 바로 링크를 보여주는 편이라 이런 거 검색할 때엔 구글 사용하면 편리합니다요. 드라이버만 따로 받을 수 있는 IT관리자용 페이지도 있으니 참조하시길.
Realtek PCIe FE / GBE / 2.5G 드라이버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리얼텍의 유선 랜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단순 패키징만 바뀐게 아니라 안의 드라이버 버전도 올랐네요. 윈11 기준 1125.11.1206.2022입니다. 이전 버전 삭제하지 않아도 되고, 파일 다운로드 후 압축 풀고, 실행파일 실행하고 [복구]하시면 알아서 드라이버 설치됩니다.
AMD, HYPR-RX 기능 2023년 출시 예정
·
PC.Div.Soft/Driver.Firmware
AMD가 작년 11월쯤 HYPR-RX에 대한 정보를 알렸는데요, 2023년 상반기 출시될 것이라 했었습니다. 다만 HYPR-RX는 기존의 기능들(RSR + Anti Lag 등의 기능들)을 클릭 한 번에(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기에 개인적으론 드라이버의 UI 등을 고려하면 AMD의 선택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드라이버 출시 시기가 조금 늘어난 것 같아서 이번에 기능이 추가되나...하고 기대해보게 되네요.
ASUS PN41 BIOS 업데이트(0810)
·
PC.Div.Soft/Driver.Firmware
ASUS Mini PC PN41의 신규 BIOS가 등록되었습니다. 0810버전이고, 23년 1월 10일자로 등록되었네요. 파일 날짜도 1월 10일이고요. 업데이트 내역에 관련한 자세한 내역을 찾을 수 없습니다만, 요 근래 행해지는 건 대게 보안 패치가 주된 내용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보통은 BIOS업데이트와 더불어 각종 장치 호환성 역시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챙겨보시기 바래요. +ME업데이트도 같이 등록되었습니다. 근데 이거 윈도에서만 업데이트가 가능해서(....;) 윈도 외의 OS를 설치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윈도로 살짝 갈아타시거나, SSD를 바꿔 업데이트를 진행하셔야 하지 않나 싶네요.
삼성 PM9A1 SSD 펌웨어 업데이트(7801Q)
·
PC.Div.Soft/Driver.Firmware
*바이두, 칩헬, 하드웨어 럭스 등에 7801Q 버전(00A00/00B00)관련 글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별다른 업데이트 내역은 잘 모르겠네요. 업데이트 파일은 동일합니다. 7701Q용 파일 받아서, 7801Q파일로 교체하시면 되지 않나 싶은데... 0E관련 이슈 후 빠르게 나온 펌웨어인 만큼 업데이트하셔서 사용하시는 걸 권장하는 글들이 꽤 되네요. **추가 7082Q(00B07용)펌웨어도 등록되었네요. 아래 00B00용 툴에서 bin 교체하고 배치파일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 파일은 이전 7701Q 업데이트 파일에 7801만 바꾸고 명령어 스크립트만 살짝 수정한거라 기존과 사용법은 동일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세요. 업데이트 후 별다른 문제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256GB 8개..
ASUS TUF GAMING B660M-PLUS D4 ME/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ASUS TUF GAMING B660M-PLUS D4 모델의 신규 BIOS 2212가 등록되었습니다. 압축 파일 내 파일 날짜는 12월 13일이네요. 시스템 성능 향상이 주된 업데이트 내역이며, 여타 600시리즈 보드의 업데이트 내역과 마찬가지로 ME 펌웨어 역시 같이 업데이트하는 걸 권장하고 있습니다. ME 펌웨어는 2229.3.2.0버전이라고 나오지만 파일명은 MEUpdateTool_16.1.25.2020V2_S600으로 여타 보드와 동일합니다. ME 드라이버는 윈도10/11버전 페이지는 여기에서 구할 수 있고, 윈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업데이트 시간은 그리 길지 않고, ME 업데이트 전 후에 비트라커 관련 암호 키 백업 등을 안내하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VMD를 켜서 쓰신다면 ..
ASUS PRIME Z690-P D4 BIOS/ME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ASUS PRIME Z690-P/ Z690M-PLUS D4 모델의 BIOS, ME 업데이트가 진행되었습니다. ME 버전은 16.1.25.2020v2이며 시스템 BIOS 업데이트 전에 ME업데이트를 먼저 진핼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BIOS는 시스템 성능 향상이 업데이트 내역이네요. 이어 600시리즈 보급형(H/B 등)보드에도 업데이트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지 않나 싶습니다. 12세대 또는 13세대에 600시리즈 보드 사용하시는 분들은 업데이트를 종종 챙겨보세요. ASUS PRIME 모델을 써온 경험에 의하면 USB 장치, PCIe 장치, 메모리 호환성 등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꽤 있기에 설정의 귀찮음이 있더라도 BIOS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게 여러모로 좋지 않나 싶네요.
PRIME A520M-K BIOS 2814 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ASUS PRIME A520M-K 보드의 2814 BIOS가 등록되었습니다. 별다른 업데이트 내역은 확인할 수 없네요. 그동안의 명명법을 미루어 보면 AGESA 버전이 업데이트되거나 하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ASRock 머더보드 BIOS 업데이트
·
PC.Div.Soft/Driver.Firmware
Reddit에 이런저런 정보가 올라오고 있어서 Reddit(r/ASRock)을 주로 활용하게 되네요. ASRock 머더보드의 공식 베타 버전 BIOS의 경우 레딧을 자주자주 체크해보시면 좀 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인텔 700(Z790)시리즈 칩셋을 사용한 머더보드의 프로세서 설정 최적화, 메모리 호환성 증가와 관련된 BIOS 업데이트 및 AMD B650 칩셋을 사용한 머더보드의 AGESA CombmAM5 1.0.0.4 업데이트, 일부 보드들의 RTX 40시리즈와의 호환성 증대 등이 이루어지고 있네요. 다만 신규 보드, 구보드 업데이트를 보고 있자니 어드 보드제조사나 그렇지만, 널리 사용되는 모델과 어느정도 가격대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게 각종 업데이트와 관련한 혜택을 빨리 받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