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ein Berry
Microsoft, Windows 10 21H1 공개, Windows 10X 개발 중지
Microsoft, Windows 10 21H1 공개, Windows 10X 개발 중지
2021.05.20Microsoft가 18일(현지 시간), Windows 10 May 2021 Update(21H1)의 배포를 시작했습니다. 윈도 업데이틀 통해서도 사용 가능하고, 이전과 마찬가지로 업데이트 도구로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어 Windows 10X의 출시도 중지한다고 전했는데요, OS를 제한하지 않고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게 유리하다는 이유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Windows 10X용으로 개발된 기술은 참여 버전의 윈도10에 반영되어 있고, 향후 정식으로 정식 버전에서도 제공될 것이라고 합니다.
AMD, 셰이더 모델 6.6 지원 Radeon드라이버 출시
AMD, 셰이더 모델 6.6 지원 Radeon드라이버 출시
2021.05.20AMD가 Radeon Software Adrenalin 21.5.2를 공개했습니다. Days Gone 지원 외에 DirectX 12 Agility SDK 및 Shader Model 6.6지원이 추가된 드라이버라고 합니다.
Terramaster f2-210 NAS(TOS) 4.2.07
Terramaster f2-210 NAS(TOS) 4.2.07
2021.05.18알리서 보면 저렴하게 판매하는 NAS제품군. 중국의 네트워크 제품을 믿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개인의 선택이지 않나 싶다. 개인적으로 필요해서 포스팅. 근데 이것저것 쓰다보면 외부 공유 편하고 설정 쉬운 시놀로지쓰게 되지 않나 싶은데....아무튼 관련 정보가 필요해서 포스팅. 홈페이지는 구글 검색하면 쉽게 나오더라. F2-210 모델의 지원페이지는 여기. DAS 제품은 그럭저럭 성능도 괜찮아 보이는데 오리코보다도 저렴한 것 같다. 가성비 돋네.... 아쉽게도 라이브 데모는 동작하지 않더라. 세부 사항은 포럼에 등록되는 것 같다. 사실 개인적인 추천은 그냥 정말 맘편히 라즈베리파이 쓰거나, https 인증서 관리 잘 하고 보안 설정 잘 할 자신 있으면 OMV나 우분투에 아파치나 nginx, 도커로 이런저런 ..
Intel, Alder Lake-S 머더보드에서 ATX12VO 표준 장려
Intel, Alder Lake-S 머더보드에서 ATX12VO 표준 장려
2021.05.17TPU, VideoCardz에 따르면 Intel이 Alder Lake-S에서 새로운 ATX12VO 표준을 장려하고싶어한다는 것 같습니다. 다만 머더보드 제조사와 PSU 제조사 모두, 아직은 딱히 그럴 맘은 없어 보인다고 하네요. 조립 PC 시장에 이 ATX12VO 표준 규격을 적용한 머더보드는 ASRock Z490 Phantom Gaming 4SR 정도였고요. 이 새로운 표준 규격인 ATX12VO의 경우 전력 효율성이 기존 ATX 규격보다 높아, 시스템의 유휴 전력을 상당히(절반 가량)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Alder Lake-S의 출시 시기 등을 고려해도 당장에 이러한 표준 규격이 낲으로 출시되는 머더보드 등에 적용되진 않을 것 같다고 하네요. ----- x86의 전력 짜내기같긴 한데, 우선은..
Windows 10, 업데이트 후 노이즈 발생 문제
Windows 10, 업데이트 후 노이즈 발생 문제
2021.05.17이전(3월)에 있었던 KB500842설치 이후, 일부 PC에서 고음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특정 오디오 장치나 5.1ch 돌비 오디오 환경에서 특정 앱을 사용하면 고음 노이즈나 끼긱거리는 소리가 나는 문제라고 하네요. 윈도10 20H2/2004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며 스테레오 출력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MS는 우선적으로 음악/영상 스트리밍을 Web 브라우저에서 하거나, 입체 음향을 사용하지 않는 걸 우선적으로 권한다고 합니다. 차후 업데이트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고요.
Windows 10 프리뷰 버전, 앱에서 HDR 컬러 프로필 지원
Windows 10 프리뷰 버전, 앱에서 HDR 컬러 프로필 지원
2021.05.17MS가 Dev 채널로 윈도10 인사이더 프리뷰 빌드 21382를 공개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포토샵, 라이트룸 등의 앱에서 HDR 모니터의 색상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모든 색범위를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장치 관리자의 드라이버별 정렬 기능 등도 추가되었다고 하니 참조하세요.
ASRock, 자사 AMD 400 시리즈 머더보드 AGESA ComboAM4v2 1.2.0.2 기반 BIOS 업데이트
ASRock, 자사 AMD 400 시리즈 머더보드 AGESA ComboAM4v2 1.2.0.2 기반 BIOS 업데이트
2021.05.17ASRock이 500시리즈에 이어 자사의 400 시리즈 머더보드의 AGESA ComboAM4v2 1.2.0.2 기반의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다만 서밋 릿지와 피나클 릿지를 사용하고 있다면 업데이트를 권장하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그리고 보드에 따라서 3300X CPU 사용중이라면 업데이트를 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보드도 있으니 참조하세요.
GIMP 2.99.6 출시(개발 버전)
GIMP 2.99.6 출시(개발 버전)
2021.05.12GIMP 2.99.6 버전이 출시되어 한창 개발진행중인 3.0 버전의 진행사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번 버전에선는 캔버스 외부 영역의 가시성 지원(캔버스 크기보다 넓은 가이드선), 제스처 지원, 새로운 페인트 선택 도구 등이라고 하니 참조하세요.
iBasso DC03/DC04 펌웨어 업데이트
iBasso DC03/DC04 펌웨어 업데이트
2021.05.12iBasso DC03/DC04 제품군의 신규 펌웨어가 등록되었습니다. 4월2일 등록이라고 하지만 안에 파일은 3월이네욥. 업데이트 방법은 전 DAC 연결(Type-C 연결, 허브 사용하지 않음) > 압축 풀고 파일 실행 > 경고 확인 > Write EEPROM 누른 뒤 화면의 지시에 따라 DAC 연결 해제 후 재 연결 > 인식되길 잠시 기다린 뒤 진행 > 게이지가 다 찰때까지 기다린 뒤, DAC을 재연결했습니다. 딱히 버전 체크 기능은 없는만큼 업데이트한 후에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되니까 한 번만 진행하시면 됩니다. 리드미 파일에 따르면 이번 버전에서 DSD 페이즈 문제, DSD/PCM 전환 시 출력이 안될 수 있는 문제해결 및 일부 스마트폰과의 호환성 문제 해결....이라고 합니다. 다만 아직 PC에서 사..
국토정보맵(건축물 넓이 등 확인 가능)
국토정보맵(건축물 넓이 등 확인 가능)
2021.05.12국토정보맵에서 GIS 자료 제공해주는건 꽤나 오래되었는데(2015년 전후), 이전에는 일부 축척 데이터만 무료로 받을 수 있었다가, 이제는 축척 비율 자체가 하나만 제공되는 듯. 건축물 GIS 정보나 온도 데이터 등은 공공 데이터 포털을 사용합시다. 국가 공간 정보 포털에서 제공하긴 하는데 그냥 공공 데이터 포털서 검색하면 여기로 리다디렉트 되니까 참조 자료 있나 없나도 체크해 볼겸 공공 데이터 포털 검색 추천. 받은 자료는 대게 캐드류 프로그램이나 무료 GIS 소프트웨어인 QGIS, 엑셀 등으로 어느정도 확인할 수 있는데, 결국 활용하는건 자기니까. 내 경우 수치지도 종종 쓰는데, DXF 파일로 내보내주고, 등고선 살아 있어서 여러 3D 툴에서도 써먹을 수 있다. 다만 건물은 높이 안나오고, 대충 넓이..
REMS -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REMS -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2021.05.12여기서 접속 가능, 태양광, 태양열, 풍력 발전 설비 등 여기에 등록된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발전소 수량이나 발전량, 설치 현황과 같은 수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 개인적으론 제안서 작업할 적에 한번씩 체크해보고 했었음. SMP, REC 가격은 전력거래소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조합시다. 각종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신재생 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정도고, 요즘은 이쪽 관련해서도 서비스가 제공되는것 같은데, 자기가 이거저것 알아본다면 적어도 브로커들의 입발린 말에 넘어가지 않을 수 있지 않나 싶음.
씨리얼(SEE:REAL)부동산 종합 정보 검색 사이트
씨리얼(SEE:REAL)부동산 종합 정보 검색 사이트
2021.05.12홈페이지는 여기. 사실 쓰다보면 결국 구청이든 주민센터든 이용하게 되어있는데; 사업 계획 세우거나 제안서 작업할 적에 무허가 건물인지 아닌지 정도는 체크 가능. 정보가 상세하게 나오지는 않는데 등록된 경우에는 면적 등의 계산도 가능하다. 여기랑 LURIS도 자주 쓰지 않나 싶은데, 여긴 이제 토지이음인가 하는 곳으로 변경됨. 개인적으론 앱보다는 PC로 사용하는데 토지 이용 계획 등을 간단하게 조회해보는 데 편하지 않나 싶다. 그외에 자치법규정보 시스템 같은거 활요하면 하나하나 시청 홈페이지 뒤적이지 않아도 좀 더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생각보다 시골 군, 구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적고, 결국 거기 들어가도 필요한 정보 찾거나 하려면 외부 사이트 > 외부 사이트로 넘어가는게 꽤 되기에...; 다만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