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11, 이 사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 아이콘 제거하는 법
·
PC.Div.Soft/Windows.Office
Windows 11 Spotlight 기능을 사용하여 배경화면을 자동으로 바꾸는(MS 추천 배경)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개인 설정 > 배경 > 배경 개인 설정에서 Windows 추천으로 설정), 바탕화면에 이 사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라는 아이콘이 생기고, 이를 우클릭하면 배경 화면을 바꾸거나(다음 배경 화면), 배경 화면과 관련된 사이트를 띄워주는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근데 안보고 싶을 수 있으니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수정을 사용하는 방법이고요. 레지를 적용하고(관리자 권한 실행), 바탕화면에서 새로 고침을 누르면 적용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regedit) 아래 주소로 찾아간 뒤, NewStartPanel 폴더에서 우클릭하여 새로 만들기 > DWORD (32-bit..
윈도 11 설치 시 필요한 무선랜 드라이버(REALTEK/MediaTek)
·
PC.Div.Soft/Driver.Firmware
윈도11 미디어 제작 툴로 윈도11 설치 이미지 만들고, 설치 할 때에 드라이버 로드하기 눌러서 필요한 드라이버 설치해야 할 적에 설치해주면 됨. 주로 쓰이는 리얼텍(8852BE), 미디어텍(MTK7921/7922), 무선용 inf파일 첨부. 리얼텍 드라이버는 HP와 DELL에서, MTK 드라이버는 Acer에서 가져옴(ROG 포럼 걸로 대채). 인텔은 공홈에서 잘 제공해주는데...퀄컴은 잘 모르겠다. 인텔 무선랜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인텔 공홈에서 받아서 사용합시다(IT관리자용 받으면 됨). 근데 이런건 사실 ROG 포럼이나 이런 곳에서 모아둔 거 사용하면 편하다. 이런저런 복구 CD나 드라이버 팩...같은 거 하나쯤 구현해두면 나중의 일이 편리함. 구매한 노트북의 모델을 먼저 확인하고, 노트북 지원 페..
Windows 11, 볼륨 믹서 개선 예정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 11 IP(인사이더 프리뷰) 빌드 25039에서 밝혀진 내용인데요, 이번 빌드에서 탐색기, 터치 키보드 지원 개선 강화 및 음성 액세스 개선과 함께 볼륨 믹서의 변경이 이루어 졌으며, 단축키 역시 배정되었습니다(윈도+Ctrl+V). 여기에 ACM(하드웨어 수준의 자동 색상 관리) 기능이 확장된다고 하고요. ACM의 사용 기준은 WDDM 3.0 지원(AMD RX 400이후, Intel DG1/12세대 통합 그래픽 이후, NVIDA GTX 10시리즈)제품군부터라고 합니다. 그 외에 시작 메뉴....의 개선도 이것저것 시험해보는 거 같네요. 상당한 버그 역시 수정되었으니 윈도 11의 개선을 기다려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나 보입니다.
Skylake i7-6700K, Windows 11 설치 가능
·
PC.Div.Soft/Windows.Office
TPM 2.0은 지원하는 보드고, Windows 11은 윈도 업데이트를 통한 경우에만 제한이 되고, 설치 도구 등으로 신규 설치를 하는 경우에는 딱히 TPM 우회 등을 하지 않아도 올바르게 설치되고, 업데이트 역시 올바르게 진행된다(.....). 사실 안된다고 하는게 어찌보면 좀 의하하기도 했고(....;). RUFUS 등으로 우회 옵션 건들이지 않아도 잘 설치됨. 윈도11 미디어 설치도구로 진행했는데 별다른 문제 없이 잘 설치되고, 올바르게 작동한다. 전체화면 최적화 옵션 등도 잘 되서 윈10일때보다 더 쾌적함. 22H2이며 별다른 문제 없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니 업데이트 불가능했던 윈10 사용자중에서 포맷 예정이라면 윈도11을 선택지에 넣어도 괜찮지 않나 싶고, 인텔 6/7세대 사용자라면 신규 설..
윈도11, KB5022845 업데이트 배포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11의 KB5022845 업데이트가 배포되었습니다. 2월 보안 관련 업데이트이며 각종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3-23376, CVE-2023-21823, CVE-2023-21715)등을 포함한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수정되었다고 합니다. 보통은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설치되니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되지 않나 싶네요.
윈도11, KB5022360 업데이트 프리뷰 제공
·
PC.Div.Soft/Windows.Office
Microsoft가 윈도11용 업데이트 프리뷰 KB5022360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설정 > 업데이트에서 가능하고, 이번 업데이트부터는 .NET Framework업데이트와 관련해 선택적 업데이트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KB5022360 업데이트 프리뷰에서 IME관련 문제, 일부 컨트롤러와의 호환성 문제 등이 해결된다고 하니 업데이트가 필요하셨던 분들이라면 미리보기 설치를 권장하며, 별 문제 없으셨다면 차후 정식 업데이트를 기다려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윈도11, ReFS 지원 강화
·
PC.Div.Soft/Windows.Office
차기 윈도11 업데이트에서 ReFS지원이 강화되는 것 같습니다. 기존에도 ReFS를 지원하긴 했지만(서버 OS에서 주로 사용 가능), 이젠 ViVeTool로 ID 42189933을 활성화하면 Win11 Pro에서도 OS를 ReFS 파티션에 설치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Windows 11에서 SMB2/SMB3 게스트 액세스 기본 비활성화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11의 새로운 개발자 빌드(25276)가 공개되어 있는데요, 각종 버그 수정과(탐색기 버그, 병음 변환 문제 등)이 해결되고, Apple Music(미국 전용) 등의 윈도 버전 앱이 스토어에서 제공됩니다. 그리고 네트퉈크 문제 해결이 이제 최신 도움말 UI로 제공된다고 하고요. 그 중 이번 릴리즈에서 Guest자격 증명으론 SMB/SMB3에서 작업할 수 없다고 합니다. 보통은 이렇게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사용자나 환경마다 다르니까요. 해결책은 그룹 정책 수정 및 레지스트리 변경이라고 합니다. 윈도11 신규 설칫 시 SMB1 없는 거, 암호 공유 켜져 있는 것 등도 생각보다 당황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은데, SMB2/SMB3 게스트 증명이 기본값으로 막힌다고 하니 관련 정보 미리 체크해..
윈도11, 계산기 앱 활용하기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11의 계산기 앱은 윈도가 업데이트되면서 같이 업데이트되거나, 스토어에서 업데이트가 진행되는데, 생각보다 쓸만한 기능이 많이 들어있다. 굳이 웹브라우저 실행할 필요 없이, 계산기 실행하고 왼쪽 상단의 햄버거 메뉴 눌러서 필요한 메뉴(부피/길이/무게/온도/면적/속도/시간/데이터/각도 등)를 찾아 사용하도록 합시다.
윈11, 시작 메뉴 종료 버튼 옆에 바로가기 표시하기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11 22H2 업데이트 후, 설정 > 개인 설정 > 시작 > 폴더에서 설정할 수 있다. 설정하면 시작 메뉴에 전원 아이콘 왼쪽 옆으로 주루룩 나열됨. 바탕화면에 휴지통만 덩그라니 있는게 익숙해진 요즘, 네트워크 같은 거 표시해두면 시작 버튼 눌러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다만 별도 폴더 지정은 따로 안되고, 윈도 기본 폴더만 가능하니 참조합시다. 개인적으론 구 제어판도 추가 가능하면 편하지 않나 싶은데, 그건 지원하지 않아 조금 아쉽다.=(
윈도11 테마 사용하기
·
PC.Div.Soft/Windows.Office
윈도 9X시절부터 있던 테마를 잘 사용하고 있고, 요즘은 배경 화면 훌륭한 사진들을 볼 수 있어서 종종 사용하는데, 윈도11로 업데이트하면서 스토어에 종속되어버려 직관성이라고 해야 할까, 손이 좀 더 가게 된 건 아쉬운 듯. 바탕 화면 마우스 우클릭 > 개인 설정 > 테마에서 설정 가능하고, Microsoft Store에서 더 많은 테마 가져오기를 눌러 마음에 드는 테마를 설치할 수 있다. 작업 공간이긴 하지만 여러 이미지를 구경할 수 있는 만큼 종종 들러서 어떤 테마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윈도를 사용하는 하나의 재미지 않나 싶음. 참 별거 아닌 거지만 개인적인 경험상 게임을 하다면 테마 색상 자동 선택옵션은 꺼두는 걸 권장.
윈도 11 프리뷰, 게임 및 앱 성능 저하 해결
·
PC.Div.Soft/Windows.Office
최신 윈도 11 인사이더 베타 채널에 등록된 22623.1028/22621.1028 빌드에서 안전 모드에서 탐색기가 자주 충돌하는 문제, GPU 성능 문제 등이 해결되었다고 하네요. 다가올 윈도 11 업데이트를 기대해봐도 좋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