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한글 입력기
·
PC.Div.Soft/Linux.Selfhost
개인적으로는 Nabi를 좋아했었는데(한영키로 전환도 되고, 무엇보다 내가 우분투에서 가장 처음 알게 된 한글 입력기였기에), 찾아보니 UIM-벼루나 nimf 입력기, fcitx 등의 입력기를 쓰시는 분들이 계시더라. 개인적으론 우분투에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입력하는 대엔 윈도보다 힘들다는게 단점이었는데; 이는 우분투 16 버전에서 많이 좋아졌고, 17, 18버전에 오면서 사실 굳이 다른 거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가 되었다. 이제는 우분투 설치 시에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다면 라이브 CD 부팅 후 키보드 선택에서 한글 104키 해 두면 알아서 iBUS 설치되고, 한글 입력이 가능해진 상태가 된다. 16버전 새로 설치 때부터 느낀건데 그 이전 부터 되었을지도; 17버전 부터는 나눔 고딕..
Ubuntu 18.04 Bionic Beaver 출시
·
PC.Div.Soft/Linux.Selfhost
■ 참조- https://www.ubuntu.com/- https://linuxconfig.org/how-to-upgrade-to-ubuntu-18-04-lts-bionic-beaver새 배경화면 / 부팅 속도 향상 / 데스크톱 환경 유니티에서 그놈으로 대체 / Xorg 디스플레이 서버 / 파일 관리자 디자인 향상 / 그놈 적용에 따른 환영 메시지 출력 / 도움말 기능 향상 / 우분투에서 익명의 자료(버전, 하드웨어, 자동 로그인 선택 등)를 수집 / 썬더볼트 3 지원 / 배터리 사용 중 20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절전 모드 / 리눅스 커널 4.15 업데이트 / 리브레 오피스 버전 업 / 멜트다운/스펙터 패치 적용 / CIFS 마운트에서의 기본 CIFS/SMB 프로토콜 버전 변경 / 파이썬 3..
리눅스 사용 노트북의 배터리 소모 개선 - TLP
·
PC.Div.Soft/Linux.Selfhost
■ 홈페이지- http://linrunner.de/en/tlp/tlp.html ■ 참조- http://www.ubuntugeek.com/how-to-improve-ubuntu-laptop-power-management.html 우분투 17.04에서 17.10에 이르기까지 꽤나 오랜시간 써봤는데, 내 서브 노트북(U35S)의 경우에는 내 사용 패턴으로 비교시 20분 정도 늘어나는 듯 하고, 발열에 차이는 느끼지 못했다. USB 오디오 장치 등을 연결해서 써서 그런지 싶기도 하고...음..미묘. TLP로 가능한 것들은 터보 부스트(터보 코어) 주파수 조정, HT관련 프로세서 스케줄러, HDD 스핀 아웃 타임 설정, SATA ALPM 설정, ASPM 설정, WiFi 절전 모드 설정, ODD 베이 전원 끄기 등..
Ubuntu 17.10, Lenovo, Acer 시스템에서 버그 발생
·
PC.Div.Soft/Linux.Selfhost
■ 출처- https://wiki.ubuntu.com/ArtfulAardvark/ReleaseNotes?_ga=2.100922177.1531090376.1514105907-110571157.1512357613#Known_issues- https://bugs.launchpad.net/bugs/1734147 노트북 좀 밀고 다시 설치할까 해서 17.10 다운로드하러 갔더니 막혀 있었음(...). 패치 후에 다시 공개한다고 하니 참조하자. 리눅스 4.13 커널(우분투 17.10에 포함된 커널)이 위(레노보, 에이서)시스템 사용자들이 BIOS 설정을 하거나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게 하는 버그가 있다고 함. 위 시스템 사용자 중에서 우분투 17.10을 쓰고 있다면 16.04 LTS USB 메모리 이미지를 만들어서 ..
우분투에서 플래시 플레이어 설치
·
PC.Div.Soft/Linux.Selfhost
■ 참조- http://blog.daum.net/bagjunggyu/110 파이어폭스 기준, 14.xx 버전 사용할 때엔 소프트웨어 센터에서도 설치되던데 17.10으로 넘어오면서 기존에 알던 것들이 안 되서 다시 검색해보는 중에 발견.http://archive.canonical.com/pool/partner/a/adobe-flashplugin/ 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우분투에 맞는 .deb파일을 받으면 알아서 소프트웨어 설치 관리자 화면이 뜨고 잘 설치된다. =) 괜히 tar파일 받아서 터미널 열고 .so파일 파폭 플러그인 폴더에 넣어주거나 할 필요 없음. 단, 파이어 폭스의 재시작은 필요하니까 참조하자.
우분투, APM설치
·
PC.Div.Soft/Linux.Selfhost
- http://sarghis.com/blog/680/ 님의 글을 참조로 함 (우분투 설치(16.10 x64), VMWare 브리지 네트워크로 설정해 약간의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우분투에서 ip확인은 터미널 > ifconfig에서 가능) *모두 터미널에서 실행*서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확인$sudo apt-get update (또는 sudo apt-get upgrade)*모두 sudo 에서 실행(아닌 경우 sudo 라고 입력해 주거나 sudo su먼저 실행 후 입력) Apache2 설치$ sudo apt-get install apache2 Mysql5 설치(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설치 - 설치 중에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하니 설정할 것)$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
우분투 기본 배경화면
·
PC.Div.Soft/Linux.Selfhost
은근히 예쁨.
우분투 14.04 LTS
·
PC.Div.Soft/Linux.Selfhost
이전 버전 (13.10)에선 윈8이 설치된 HDD에서 윈8을 인식 못해서 멀티부팅이 힘들었는데, 이번 버젼은 뭐랄까 딱히 흠잡을 게 안 보인다.릴리즈 이후 업뎃이 있다길래 업데이트 했다가 시스템이 맛가버린게 한번 있기도 하고 쿠분투랑 이것저것 해보느라 4번은 설치한거 같지만(...) 한글 입력 문제는, ibus는 처음인데(나비 사용)..도 딱히 설치 후에 아무런 설정 없이도 한글 적어지고 플래시도 되고 되서 깜놀.설치시에 인터넷 연결되어있으면 자동으로 언어설정이랑 알아서 해주는 듯.영어를 입력해야 하니 키보드에서 영어만 추가로 설치하고, 클립보드 확장 등만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설치해주니 굉장히 만족스럽다.다만 저 옆에 독...은 적응이 좀 힘들다. 14.04를 기반으로 한 리눅스 민트가 나오면 넘어가던가..
ubuntu 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하기
·
PC.Div.Soft/Linux.Selfhost
완전 초보 유저이기에; 그저 알고 있는 방법만을 생각해보면 ibus같은 기본 입력기..는 잘 모르겠고,항상 nabi설치 해서 이용하고 있다. 설치법은 간단. 인터넷에 연결하고, [메뉴] - [관리] - [소프트웨어 관리자]를 열자 검색창에 nabi를 검색하면, 자동으로 nabi 입력기가 뜬다. 저걸 선택하면, 이렇게 자동으로 물어본다. 스샷에는 [제거]버튼이지만, 설치가 안된 PC에는 [설치]라고 되어 있으니 눌러서 설치하자. 기본적으로 암호 물어보면 암호 입력해주자. [메뉴] - [기본 설정] - [입력기] 를 눌러 이렇게 대화상자가 뜨면 설정을 바꿀 것 이기에, 예, 확인 눌러서 승인 해 주자. 그리고 hangul을 선택하면, 완료! 이제 인터넷 창 등을 열어서 확인해보면 오른쪽 alt키(한/영 키)..
초보 우분투 유저가 되다
·
PC.Div.Soft/Linux.Selfhost
사실 리눅스는 초딩때 PC잡지보면서 쓰던 RED HAT이랑, 이후에 간간히 설치했던 한컴 리눅스, 그리고 우분투(10.xx)정도 였는데, 휴대폰도 안드로이드고 해서, 무료소프트웨어 많은 리눅스를 써보고 싶어서 재도전. 사실 정품 유저가 되고픈 마음에 노트북만큼은 리눅스로 쓰고 싶었음. 문서 작성하거나 PPT 만들 일도 적어지고 하고, 게임에서 탈출하고자 늦은 시간에 단행. 우분투는 데스크톱 환경으로 그놈..을 사용할 적에 예뻐서 잠깐 썼는데 최근의 우분투는 유니티를 사용하기에 뭔가 어색하달까 해서 비공식? 배포판 중에 예뻐보이는 배포판을 선택함. 리눅스 민트 (http://www.linuxmint.com/) 의 시나몬 버젼이 예쁘더라. 노트북이 그다지 좋은게 아니어서(i3-370M, 4G, Rade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