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 스페이스(개인 2GB, 웹한글 개인 사용자 무료)
·
PC.Div.Soft/Tip
오피스도 그렇고, 포토샵도 그렇고, 구독제 및 웹 오피스를 제공하는 곳이 꽤 늘었다. PC가 아닌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서이지 않나 싶은데, 웹 오피스는 국내엔 요즘엔 구글 독스, MS 오피스 웹, 네이버 문서.... 정도로 정리되는 듯 하다. 시놀로지 오피스도 좋긴 한데, 이건 사실 협업이나 버전관리용이 주된 목표라... 매크로 잔뜩 들어간 엑셀 파일 등이라면 PC가 필요하긴 하지만; 한글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이쪽은 모바일 앱이나 이런 게 좀 부족하지 않나 싶은데... 아무튼 내 경우엔 시놀로지 오피스, 구글 독스, 네이버 문서, MS 오피스(365)를 다 이용중인데; 아무래도 태블릿에서 작업하는데엔 구글 독스가 무난하지 않나 싶음. 요즘에는 HWP/HWPX파일도 어지간해서는 다..
NVIDIA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테이블
·
PC.Div.Soft/Tip
보통은 별 쓸 일 없는데, NVENC사용하려면 지원하는 게 어딘지를 체크해보기 위해 가끔 필요하더라. 홈페이지에 다 나와 있으니 참조합시다. https://developer.nvidia.com/video-encode-and-decode-gpu-support-matrix-new
ipTIME NAS/NS공유기 국가별 IP차단하기
·
PC.Div.Soft/Tip
NAS에는 기본적으로 있는 기능인데, 최신 펌웨어에서 일부NS가 붙은 공유기에서도 관련 기능이 들어가있다. 이전부터 있었던 거 같기도 하고... 아무튼 기본적인 보안 규칙 중에서도 기본 포트 변경, 관리자 계정 사용 안함 등이 있는데, 여기에 방화벽 사용하는 효과 비슷하게 국가별 ip차단 걸어두면 좀 더 안전하긴 하다. 필요에 맞춰(해외에서 쓴다거나 하는 경우도 있으니) 차단해두도록하거나, 아예 한국에서만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니 참조합시다.
Radeon Image Sharpening 사용하기
·
PC.Div.Soft/Tip
AMD Radeon 그래픽 카드(RX470~), 일부 APU 지원. 게임만이 아니라 영상에도 적용된다. 처음 나왔을 때 잠깐 쓰고, 이제까진 뭔가 미묘해서 잘 안썼는데 요번에 켜보니까 꽤나 만족스러움. 별도의 샤픈 필터 먹이지 않아도 충분히 또렷한 화면을 보여준다. 게임에 따라 또렷한 화면이 방해되는 경우도 있으니 취사선택하도록 합시다. 전역설정인 만큼 동영상 및 웹브라우져에도 적용됨. 게임 정해서 적용하려면 프로파일로 설정합시다. 기타 설정은 공식 홈페이지 도움말을 활용하도록 하고요. 설정은 간단하다. 아드레날린 실행 > 오른쪽 상단 톱니바퀴(설정) > 그래픽 > 아래부분 고급에서 Radeon Image Sharpening을 선택해주면 된다. 선예도는 60정도만 되어도 괜찮고, 80하니까 점? 같이 보..
윈도10, 11 공유폴더 해제하기
·
PC.Div.Soft/Tip
생각보다 간단하다. 공유된 폴더 마우스 우클릭 > 속성,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 선택해서 선택한 폴더 굥유의 체크를 해제해주기만 하면 된다.
Intel UHD 770(12세대) 프로세서의 크롬 브라우저 관련 문제
·
PC.Div.Soft/Tip
Intel이 자사의 12세대 Core 프로세서용으로 제공되는 UHD770 그래픽 드라이버에 크로뮴 기반의 크롬, 엣지(Edge)브라우저에서 클릭 지연(2초 정도)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한 번의 많은 탭을 열거나 스크롤하면 문제 발생이 더 자주 일어나며, HDD를 사용한다면 더 자주 겪는다고 합니다. 해결 방법은 SSD 사용, 브라우저 및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윈도 업데이트 등을 해볼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브라우저의 하드웨어 가속도 비활성화할 것을 권한다고 하네요. UHD 770 사용하시면서 이상하게 인터넷하면서 문제가 있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자주자주 챙겨보시는 걸 권장합니다.
타무즈(TAMMUZ) GK시리즈 SSD 툴박스
·
PC.Div.Soft/Tip
개인적으로 SSD는 인삼마....에서 삼성 아니면 잘 안 사는 편인데; 이곳저곳 돌아다니다보면 굉장히 저렴한 SSD를 사용하는 곳들이 꽤 된다. 이런 경우라면 SSD 상태 체크 프로그램이 있다면 가능하면 설치해서 사용하는 걸 권장. 어지간해서 수명 걱정은 안해도 되지만 플래시 디스크의 체크는 생각하는 것보다는 좀 자주자주하고 백업을 진행해야 별 무리가 없지 않나 싶음. 타무즈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하고, 압축풀고 msi파일 실행하면 된다. 실행에 .NET FW 필요로 하니 참조하시고요. 펌업 같은 게 필요하지 않나 싶은데, 딱히 그런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 듯 하다.
OSGeo4W 제거하기
·
PC.Div.Soft/Tip
구글은 위대하다. 여기서 발견.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론 그냥 OSGeo4W > bin > osgeo4w-setup.exe 실행해서 지우고, 이후 시작 메뉴랑 로컬 디스크의 OSGwro4W 폴더만 지우는 방법을 추천. 아래 화면에서 ↻↺ 표시 부분 클릭하면 Install, Uninstall, Reinstall 등의 순서로 바뀌니 참조합시다.
AMD Radeon 화면 깜빡임 현상 완화하기
·
PC.Div.Soft/Tip
듀얼 모니터에는 버그가 아직 많나보다....하고 여겼는데 이번에 잘 쓰다가 22.6.1올리고 이런 문제가 또 생기더라; 지금까지 해결방법으론 그냥 글카 교체(....)나 모니터 교체, 혹은 드라이버 버전 다운이 대부분 이었는데...아이러니 하게도 최신 Radeon 그래픽카드가 아니라면 윈도 업데이트로 잡히는 구형 드라이버를 사용하는게 일상 생활에 문제가 적은 편이지 않나 싶다. 드라이버나 관리 소프트웨어에서의 설정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꽤 된다. 특히 프리싱크 관련해서 생각보다 버그가 많았던 기억이 남. 아무튼 라데온 소프트웨어(없다면 설치) > 설정 > 그래픽의 향상된 싱크(Enhanced Sync)를 꺼주거나, 디스플레이 항목의 프리싱크/어댑티브 싱크 호환(Adaptive Sync Compatible)..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구형(M10)옵테인 메모리 미지원
·
PC.Div.Soft/Tip
옵테인 SSD가 아닌 옵테인 메모리(가끔 오픈 마켓 등에서 굉장한 가성비로 올라오는 제품들)를 구성하는데 12세대 프로세서(600시리즈 칩셋 기반 머더보드)는 M10(이전 옵테인 메모리)를 지원하지 않는다. 나도 되겠지~ 하고 구성해보다가 이제 발견. 미리미리 구글링좀 해볼걸; H10, H20만 지원한다고 하니 참조합시다.
HEIC 파일 포토샵/XnVIEW로 변환하기/열기
·
PC.Div.Soft/Tip
최신 윈도10, 윈도11을 사용하고 있고 최신 포토샵(업데이트 버튼을 자주 누르는 습관이 있다면;)을 쓰고 있다면 자동 업데이트로 별 문제 없이 사용 가능. 대게 스토어에서 HEVC 비디오 확장(유료), HIEF 이미지 확장은 자동으로 설치되는 편이니까. 위 두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다면 최신 업데이트된 포토샵CC를 실행하면 별다른 조치없이도 HEIC파일을 열어서 JPG로 저장할 수 있다. 그게 아니라면 그냥 Xnview나 Xnconverter사용해서 변환 가능하니 참조합시다(클래식 버전 플러그인은 여기). XnVIEW에서의 변환 방법은 간단하다. XnVIEW 탐색화면에서 HEIC 파일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변환 > JPG를 누르면 동일 폴더에 알아서 JPG로 만들어줌. 아이폰 사용한지도 좀 되었고..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 제작
·
PC.Div.Soft/Tip
요즘 NVMe SSD 등의 가격하락으로 USB 인클로저 하나 사서 사용하면 편하니까 자주 그러고 있는데, 이번에 여유분 하나 만드려다가 보니 디스크 관리의 기능이 늘어난 듯해서 정리겸 포스팅. 일단 디스크 초기화는 기본적으로 GTP로 하고 있다. 요즘 업무를 한다고 해도 윈도 10이상이 설치되지 않은 PC 찾기가 힘들지 않나 싶기도 하고... 무엇보다 데이터 디스크로 쓸 거라 별 문제없지 않나 싶기도 하고. 아무튼 디스크 관리를 열면 저장장치가 초기화되지 않은 경우 초기화부터 물어보니 초기화부터 해 줍시다. 그 후 사용하려는 디스크에서 마우스 우클릭하면 파티션 생성이 가능한데, 보통은 그냥 단순 볼륨으로 만들면 문제가 없고, USB 디스크인 만큼 그게 좋지 않나 싶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메뉴를 간단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