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I 슬롯 쿨러/커버/브라켓
·
PC.Div.Soft/Tip
요즘은 확장 카드 자체를 쓸 일이 적어지고, VGA의 쿨링 솔루션이 3슬롯을 바라보고 있는데다 점점 쓸 일이 없지 않나 싶은데, ATX 보드라면 확장 슬롯에 120mm 또는 80/90mm 팬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전엔 블로워팬 장착된 제품도 있었는데 이거 생각보다 소음 있고, 1년 정도 지나면 베어링 마모된 소리 나니까 그냥 120m 팬 장착 가능한 거 사면 된다. 요즘은 PCIe 16배속 슬롯 위에 1배속 있는 경우 있으니까 거기 장착하면 VGA 백플레이트 쿨링도 가능. 알리서 구매한다면 PCI Slot Cooler 등으로 검색하면 나온다. 참 슬롯 커버(PCI slot cover)도 구멍 송송 난 거 팔고 있으니까 먼지 유입 안되게 청소 자주해야하지만(....) 케이스에 흡기가 부족하다 생각된..
USB 포트 확장 브라켓
·
PC.Div.Soft/Tip
대게 보드의 USB 헤더....가 두세개씩 있는데 여기에 장착하고, 확장 슬롯부에 브라켓 꼽아서 사용할 수 있다. 2포트 1헤더, 4포트 2헤더 제품이다(대게 1헤더는 케이스 전면에 연결하니 하나 정도 여유가 있지 않나 싶음). 예전엔 몇 몇 꼽아 썼었는데 이번에 이런게 있어요? 하고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 많더라. 가격 얼마 안하고 알리 등(검색어는 usb header bracket 등)에서도 구할 수 있으니까 데스크톱에 USB 포트가 부족한 사람이라면 한번 체크해 보도록 합시다.
ASUS PN41 무선 랜 모듈 지원
·
PC.Div.Soft/Tip
ASUS PN41 제품(N5105)에는 무선랜으로 9560NGW가 장착되어 있다. 공홈 제품 설명에는 사용 가능한 최대 제품이 적혀져 있기에 그저 참조만 하는 정도인데, 이 9560NGW는 CNV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CRF모듈이다. 이를 지원하는 AX제품은 인텔 Wi-Fi 6E AX211, 411, Wi-Fi 6 AX 201, 203이고 AC모델로 9560이다. 문제는 난 단순하게 CNVi프로토콜을 사용하는 M.2슬롯이기는 하지만 온제품(AX210)을 사용하면 별다른 문제 없이 무선 랜을 사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블루투스는 올바르게 동작하는데 무선이 잡히지 않는다(....). 그러니까, CNVio/CNVio2용 M.2커넥터에는 일반 어댑터(AX210 등)를 장착해도 ..
그래픽 카드 8핀 케이블(보조 전원) 꼽는 법
·
PC.Div.Soft/Tip
오늘 지인 PC봐주면서 선정리 때문인가 VGA에 케이블을 한 선에서 꼽아뒀길래 바꿔주며 포스팅. 이전에는 그냥저냥 돌아갔지만 3080Ti같이 전력을 좀 먹는 제품의 경우, 혹은 그래픽 카드에 8핀 커넥터가 2개나 3개씩 있는 제품인 경우에는 이론적인 커넥터의 전력 공급을 생각해 볼게 아니라 하나의 8핀 PCIe 보조 전원에 PSU의 PCIe 보조 전원 하나씩 물려 두는 게 여러가지 프리징이나 성능 하락, 과열 등을 막는 방법이다. 보통은 PCIe보조 전원 케이블 하나에 2가닥으로 나눠져 있어서 그걸 나눠 꼽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전력 소모가 큰 제품이라면 한 케이블당 하나의 보조 전원으로 연결해 두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전력 소모가 큰 PC부품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스플리터, 어댑터, 라이저 케이블..
ArcGIS 전자 지도 파일 좌표계 맞추기
·
PC.Div.Soft/Tip
지자체마다 기준점이 다르곤 했었는데, 요즘 전자 지도 사용 신청을 해서 받으니까 prj파일(UTM-K)을 같이주더라. 그래서 그냥 이거 불러서 쓰면 된다. 작업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Map 속성 > 좌표계(Coordinate Systems) > CurruntXY에서 Import...눌러서 prj파일 불러오면 되니 참조합시다. 참조할겸 prj파일도 첨부함.
USB Y-Cable(USB 3.0)
·
PC.Div.Soft/Tip
C-Type 장치가 늘어난 요즘은 보기 힘들어진 케이블이지 않나 싶은데, 필요할 때가 종종 있다. 외장HDD/SSD 사용시에 필요하다. 가끔 유전원 USB 허브도 필요할 때가 있더라. 알리 등지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사용하는 외장 HDD,SSD의 USB 케이블이 오래되었거나 스토리지의 문제가 아닌 USB 문제 같다면(연결이 자주 끊긴다던가 장치가 인식되지 않는다던가 하는 등), 케이블을 바꿔보도록 합시다.
우측 Alt/Ctrl 키가 되지 않는 키보드
·
PC.Div.Soft/Tip
이건 내가 회사서 쓰고 있는 한성 GK700에 해당되는 이야기. 요즘 키보드는 오른쪽 알트/컨트롤 키에 한/영, 한자키가 합쳐져 나오는게 대부분이다. 이전에는 한/영, 한자키를 따로 주는 경우가 있었는데, 어느샌가 이렇게 되는게 유행이 되버린 듯하다. 예전엔 103/106키 배열을 사용하면 되는데, 요즘은 대게 101키(종류 1/2/3)로 통일되는게 아닌가 싶다. 아무튼, 다들 아는 정보겠지만 PC/AT 101키 호환 키보드 (종류1)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한영키를 오른쪽 Alt, 한자키를 오른쪽 Ctrl로 매칭하고, 종류2의 경우 한영이 오른쪽 Ctrl, 한자가 오른쪽 Alt, 종류3의 경우 한영을 Shift + Space, 한자를 Ctrl+Space로 사용하게하는 옵션이다(우측 Alt/Ctrl 키 ..
NVIDIA Geforce RTX 30시리즈 드라이버 에러(코드 43) 해결방법
·
PC.Div.Soft/Tip
나는 라이저 케이블 안 써서 이런 게 있는지 생각도 못했는데, 이번에 쉬는 날 지인(5600X, 3070Ti 시스템) PC봐주고 BIOS 업데이트 등이랑 하면서 겪어서 찾아보게 되었다. 장치관리자에서는 코드 43,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합니다....라는 메시지 뜨면서 화면이 계속 깜빡이는 현상. 난 이런 경험이 없어서;; 라이저 카드 쓰는 경우라서 그런가... 라이저 카드 케이블과의 버전을 맞춰줘야 하나(?) 싶다. 일단 이런 문제가 생기면(대게는 Auto로 두면 알아서 잘 됨) BIOS에서 그래픽카드가 설치된 PCI-E 슬롯의 Gen이 Auto로 되어 있으면 Gen3으로 맞춰주면 문제가 해결되니 참조합시다.
KDService.exe 관련
·
PC.Div.Soft/Tip
사무실 PC에서 안랩 트랜젝션에서 KDService.exe 가 인터넷 연결을 하려고 하는데 차단했다는 메시지를 띄워줌. 문득 이게 무슨 서비스인지 궁금해서 구글링해봤더니 쿄세라 복합기 관련 서비스라고 하더라. 혹 난 이런 프로그램 설치한 적 없는데 뭐지? 싶은 사람이라면 참조하도록 합시다.
Intel 500/600시리즈 칩셋, VBIOS 미지원
·
PC.Div.Soft/Tip
인텔 500시리즈 이후의 칩셋을 사용한 환경(일부 10세대, 11세대 데스크톱 코어 프로세서 이후)부터는 iGPU 사용시 CSM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구형 장비를 가져와서 사용해야 하는 환경이라면 그래픽 카드를 별도로 하나 추가해서 사용하는 게 필요하다. 온보드 그래픽이 UEFI 환경에서만 올바르게 작동하니 주의하도록 합시다. 요즘은 가격이 저렴해진 NVMe SSD에서의 부팅이고 신규 작업 시에 CSM을 켜야 할 일은 없지만, 구형 장비를 쓰거나 OS 마이그레이션 할 예정이라면 주의합시다요.
AHCI - RAID 컨트롤러 바꾸고 난 뒤 스토리지 드라이버 설치하기
·
PC.Div.Soft/Tip
윈도XP시절에서도 가능하던 방법이긴 한데, 윈도10에서는 별 부담 없이 진행가능하다. 근데 요즘엔 이걸 설정해야 할 필요 자체를 못 느껴서...SATA 장치가 줄은 것도 있기도 하고, NVMe RAID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괜히 부팅 시간 늘릴 이유도 없고.....그렇지만 구형 시스템을 이리저리 굴려 써먹기 위해선 필요할 때가 있는 법이....구나. SSD 두 세개 정도의 RAID는 윈도 디스크 관리자에서 하는 것보다 전용 컨트롤러가 있는 확장 카드나, 칩셋에서 지원하는 게 좀 더 좋은 성능을 내주니까 RAID 0 구성이라면 소프트웨어 구성이 아니어도 괜찮지 않나 싶음. 흠흠. 아무튼 우선 기본적으로 잘 쓰던 구형 시스템에서(인텔 200시리즈 이하 플랫폼) OS는 그대로 두고 컨트롤러만 변경할 경우, ..
윈도10, 트레이 아이콘 표시 설정하기
·
PC.Div.Soft/Tip
윈도7에서도 가능하지만 윈도10에서는 트레이(시계 옆)에 표시할 아이콘의 설정이 가능하다. 작업 표시줄 설정(작업 표시줄 마우스 우클릭) > 작업 표시줄 - 알림 영역 부분에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 RUNCAT과 같은 자동 실행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이 한 번 실행이 되어야 목록에 나타나니 참조합시다. 시계 옆에 바로 표시되지 않는 아이콘의 경우 ^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니까 여러개 띄울 필요 없이 자주 보는 아이콘만 표시해서 사용하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