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Div.Soft/Tip
알리 X99 + Xeon E5v4 조합 구매 사용기
알리 X99 + Xeon E5v4 조합 구매 사용기
2023.10.03C612 칩셋을 사용한 보드는 좀 보기 힘들고(듀얼 프로세서에 가격도 ~$300전후), 제목은 저렇게 썼지만 알리서 X99를 사용한 보드...가 아니라 LGA2011 CPU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생각보다 되게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보다 좀 더 저렴한 X79 개조버전도 있던데 이건 윈도 7 쓰려는 거 아니고서야 개인적으론 비추. v4쓰세요 v4. CPU, 메모리 같이 사면 더 저렴하니까 검색은 x99 v4 kit + 제조사 같은거로 하면 됨. 타오바오나 알리를 통한다면 비디오 렌더링 머신이나 ECC 기능이 필요한 소호용 서버, 가상화 기능이 강화되고, 넉넉한 PCIe 연결로 이런 저런 장치 많이 꼽아 쓸 수 있으니 지금도 구성하기엔 나쁘지 않다고는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연식이 오래되서 개인적으..
구글 크롬 브라우저, 모든 북마크 폴더 지우기
구글 크롬 브라우저, 모든 북마크 폴더 지우기
2023.10.01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최신 117 버전 업데이트 후(2023-09-18), 오른쪽 상단에 모든 북마크 표시가 생기는데요, 이게 거슬렸던 분들은 주소 표시줄에 chrome://flags 라고 입력한 뒤, Power bookmarks side panel을 찾아서 비활성화해주면 됩니다.
Chatreey T9(N100, DDR4)
Chatreey T9(N100, DDR4)
2023.09.24Chatreey에서 전원 타입을 USB C로, NVMe 2280 규격의 SSD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T9버전이네요. T8과 다른 점은 SO-DIMM DDR4 3200Mhz를 지원한다는 점이네요. HDMI 포트는 2개로 줄었지만 Type-C USB 포트가 2개 추가되어 4개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LAN 포트도 하나 줄었네요. T8 제품의 경우 BIOS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T9는 업데이트된 BIOS가 적용된 상태로 나오지 않나 싶네요. 제품 설명을 보면 2242 크기의 M.2 슬롯에는 M.2 SATA SSD만 지원하고, 2280규격의 슬롯은 NVMe SSD만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조금 아쉬운 점은 DDR5에서 DDR4로 바뀌었다는 점인데, 저전력 프로세서인 만큼 눈에 띄는 성능 차..
윈도 11 AMD 글카 사용 시 커서가 흰색으로 바뀌는 현상 해결
윈도 11 AMD 글카 사용 시 커서가 흰색으로 바뀌는 현상 해결
2023.09.04이거 나는 윈도의 어두운 테마와 관련한 버그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APU/dGPU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현상이고, 티스토리 같은 경우에도 종종(매번은 아니고), 커서가 하얗게 변해서 못찾던 경험이 있음. 개인적으론 이것도 드라이버 업데이트하면서 점점 개선되지 않나 싶다. AMD 커뮤니티에서도 관련 버그 이야기가 있음(2022년) 개인적인 해결책은 기본 커서 변경인데, 이 외에도 윈도10로의 다운그레이드(....), GPU 가속 끄기, 지포스나 파이어폭스로 갈아타기(글 작성 시에만 파폭 쓰기 - 크로뮴기반 브라우저 및 워드 등에서 발생), 다만 NVIDIA 역시 일부 구성에서 그런 현상이 있다고 하고, MPO(Multi-plan overlay) 관련 수정 레지스트리를 적용해 MPO를 비 활성화하면 개선..
PC에서 게임 패드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때
PC에서 게임 패드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때
2023.09.04이 경우 게임 패드가 수명을 다하거나, 버튼이 고장났거나하는 경우 있는데, 의외로 스팀이 범인인 경우가 꽤 된다. steam input을 켜버리는(보통은 자동으로 꺼져있는데) 문제인 듯. 스팀 덱 등 여러 기기에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해두면 가끔 생기는 문제인 듯하다. 스팀 트레이 아이콘에서 설정 > 컨트롤러 > 데스크톱 레이아웃 변경 > Steam input 사용 안 함하고 스팀을 재시작해주면 됨. 혹 각 게임마다 컨트롤러가 이상하게 먹힌다면 일단 스팀 업데이트 또는 스팀 외 다른 게임(오리진 등) 런쳐를 일단 종료한 뒤, 게임의 속성에서 컨트롤러 부분에서 스팀 인풋을 사용함으로 바꿔주면 되는 경우도 있으니 참조합시다.
AMD Radeon Chill 기능 활성화해서 사용하기
AMD Radeon Chill 기능 활성화해서 사용하기
2023.08.22NVIDIA에서는 백그라운드 프레임 제한이라는 기능이 있고, 개인적으로 게임 켜두고 출근하거나 할 적에 사용중이었다. AMD로 넘어오면서 Radeon의 경우 Chill 기능이 있다. 내 경우에 라데온 오버레이를 안 쓰기에(단축키 자체를 비활성화) 그냥 게임별로 설정해서 쓰다가 이번 여름에 전역으로 사용하는 중. 덕분에 진짜 되게 뜨거운 건 많이 사라져서 꽤 만족. 여름 필수 기능이지 않나 싶다. 설정하는 법은 간단하다. 소프트웨어 설치하고, 오른쪽 상단 톱니바퀴 > 그래픽 > Radeon Chill 켜기, 최소/최대 프레임 설정하기(내 경우에 최소는 45~60, 최대는 75, 144Hz 모니터 쓴다면 144로 설정해도 되는데 개인적으로 75정도가 여름에는 무난하지 않나 싶고, 게임이나 해상도에 따라 다르..
MPC-BE) 자동 음량 제어 기능 사용하기
MPC-BE) 자동 음량 제어 기능 사용하기
2023.08.18음악을 듣거나 할 때에 쓰기엔 조금 미묘하지만, 옵션 > 오디오 > 음향 처리에 보면 음량 제어부분에 자동 음량 제어를 체크하고, 음량 증폭도 같이해주면 유튜브 등에서 되게 음량 작은 영상 경우에도 비교적 볼륨확보가 된 상태로 영상을 볼 수 있다. MPC-BE를 사용한다면 이렇게 설정하면 되고, VLC 등에는 볼륨 평준화라는 기능으로 들어가 있으니 활용하도록 합시다.
크롬, 게임 등에서 끝글자 짤리는 현상 해결
크롬, 게임 등에서 끝글자 짤리는 현상 해결
2023.07.27이거 그냥 적응해서 쓰려고 하는데도 간간히 짜증나는 경우가 있다. 한글 입력기 되어 있는데도 게임 내에서 입력이 안된다거나(Alt-Tab 한 번 하고 나면 입력가능), 캐릭명 지으려고 엔터쳤는데 끝글자가 잘리는 현상이 있다. 보통은 입력 다 하고 커서 한 칸 이동(키보드 오른쪽 방향키) 한 번 해주면 되는데, 이것도 한 두번이지... 메일 보낼 적에도 간간히 발생하는 문제라 커서 이동이 습관이 되어 있지 않다면 끝 글자가 짤리는 경험 꽤 자주하지 않나 싶음. 해결책은 간단하다. 시작 버튼 누르고 IME 입력 > 언어 및 키보드 옵션 편집 > 한국어 더보기 - [...] 버튼 눌러서 언어 옵션 선택. 아래 키보드에서 Microsoft 입력기, 더보기 눌러서 키보드 옵션 선택. 호환성 부분에서 이전 버전의 ..
SATA 3.3 전원 케이블 관련
SATA 3.3 전원 케이블 관련
2023.07.17SATA 3.3 규격이 나온지도 굉장히 오래되었는데, SATA 드라이브의 전원 차단이 가능한 Power Disable 기능과 관련해서(엔터프라이즈용 HDD에 주로 쓰이는 기술), 기존 3.3V 라인을 이용해 HDD의 전원을 차단한다고 하며, SATA 3.3규격이 아닌 이전 규격 전원에 엔터프라이즈용 HDD나 외장 하드에서 적출한 최신 HDD를 연결하면 전원 차단 신호가 계속 입력되는 상황이라 HDD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이 있다고 한다. 외관으로 바로 구분이 되는데 5가닥이면 이전(~SATA 3.2)규격이고 SATA 3.3 규격은 4가닥이라고 함. 근데 이거 2023년에는 별 신경 안써도 되지 않나 싶은데 생각보다 아직까지 하스웰 시스템이 현역인 곳들이 꽤 되서... 다시 확인겸 포스팅. 절연 테이프 등으..
DVDFab PlayerFab, PC에서 UHD-BD 재생
DVDFab PlayerFab, PC에서 UHD-BD 재생
2023.07.17사실 12세대 Intel CPU오면서 PC에서 블루레이 재생은 사실 좀 힘들지 않나 싶고, 그렇기에 지금까지 그냥저냥 PC용 BD 레코더 하나 사서(PC에서 쓴다면 UHD 지원 드라이브(WH16NS60나 대게 아직까지 사랑받는 BH16NS55)에 펌웨어 수정을 하고, MakeMKV로 리핑하는게 PC에서 감상하는 방법), 또는 Xbox X나 PS5를 구매하는 게 맘 편하다. 아무튼 이렇게 펌웨어 수정을 끝낸 BD-PLAYER가 있으면, 타이틀을 집어 넣고 DVDFab의 PlayerFab(유료), Leawo Blue-ray Player 를 사용해서 재생하면 된다. 지역코드만 상관 없다면 일반 BD는 VLC로도 재생가능하다고하니 참조하자. 내 경우엔 그냥 안보고말...아니 평소에 신경 쓰지 않았는데, 겨울왕국..
16TB 이상의 용량을 지닌 HDD에서 NTFS 단일 파티션 사용시
16TB 이상의 용량을 지닌 HDD에서 NTFS 단일 파티션 사용시
2023.07.1716TB이상의 HDD가 슬슬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나도 겪음. NTFS 파티션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최소 클러스터 크기 기준으로 16TB까지는 4KB 클러스터 크기를 지니고, 16TB 이상 32TB까지는 8KB 클러스트 크기를 지녀야만 한다. 그게 아니면 단일 파티션으로는 4KB클러스터를 사용하면 16TB(단일 파티션)가 최대고, 이후 여타 써드파티 파티션 제어앱으로도 이거 변경하는 게 힘들거나, 변경하는데 데이터 손실이라는 위험 +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니 알아두자. 마찬가지 이유로 각종 복제 소프트웨어(Macrium, TrueImage 등)도 NTFS 파티션 크기가 16TB를 넘어가게 되면 4KB 클러스터 크기를 지닌 파티션(대부분 기존)을 신규 HDD에 복사할 수 없게 된다. 그런 경우엔 그냥 맘편히 ..
ASUS Performance Enhancement 3.0 옵션
ASUS Performance Enhancement 3.0 옵션
2023.07.17ASUS Performance Enhancement 3.0 이란 이름으로 Alder Lake 이후의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있음. ASUS 보드나 타사 보드에도 비슷한 이름으로 비슷한 기능이 제공되고, 3.0이라는 버전만큼 이전 보드에도 있던 옵션이긴 한데, Ryzen 5600X때는 크게 못 느꼈지만 12700F로 넘어오면서 이 옵션이 켜져 있으면 전력 제한을 늘려 더 높은 클럭 유지를 보여주는 건 확실한 거 같은데(게임 프레임도 좀 더 잘나오고), 이거 CPU 온도가 너무 높다. 안켜도 충분히 빠른 시스템이라면 여름에 끄고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까 싶다. 약간의 성능 이득이 있는 건 맞는데 이런류의 옵션이 그렇듯 불필요한 추가 전력 인가가 너무 크지 않나 싶음. BIOS 업데이트 후에 CPU온도 90도 밑..